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대변 냄새는 어떤 원리로 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소화과정을 거쳐 장내에 머무른 음식물은 장내 여러 미생물들에 의해 분해, 부패하게 되는데 말 그대로 음식이 썩은 냄새인 것이다. 먹는 음식물에 따라 냄새가 다르다. 어찌보면 당연하다. 썩는 주원료에 따라 냄새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암모니아, 메탄, 유황, 질소, 황화수소 등 똥의 기본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방귀도 이것들을 포함하고 있다. 화학적으로는 트립토판이 분해되어 나온 인돌과 스카톨이 이 악취를 만들어낸다.가끔 콘도 화장실이라든지 밀폐된 화장실에서 똥을 쌌을 때 냄새가 안 빠져서 곤란한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때는 물을 사방으로 뿌리면 해결된다. 암모니아 기체 및 황화수소 기체가 물에 잘 녹는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학문 /
생물·생명
22.12.09
0
0
겨울철에 눈이 많이 내리는데요.짚앞에 염화칼슘을 뿌리면 눈을 녹일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물에 녹으면 물의 어는점을 크게 낮추기 때문에 제설용(염화 칼슘의 조해성)으로 사용된다. 염화 칼슘이 섞이면 물의 어는점이 낮아지므로 웬만한 추위에도 얼지 않게 되어 쌓인 눈이 녹게 되는 것이다. 다만, 이미 얼어붙은 뒤[1]보다는 얼기 전에 뿌려두는 것이 10배 더 효과적이기 때문에 눈오기 바로 직전에 뿌려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염화 칼슘이 녹은 물은 무려 −52°C가 되어야 얼기 시작한다. 환경적으로 극도로 추운 지방인 오이먀콘 같은 곳만 아니면 저절로 녹게 된다는 뜻. 다만, 그렇다고 -52°C까지 그 제설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 -15°C 이하는 그 효과가 떨어진다고 한다. # 그렇기 때문에 강설이나 비가 오기 전에 예보가 있고 도로 노면온도가 영하로 내려갈 경우에 제설 예비 작업으로서 미리 1~2시간 전에 염화칼슘을 살포하는 것이 아예 매뉴얼 규정으로 잡혀있기도 한다.
학문 /
토목공학
22.12.09
0
0
나프탈렌은 왜 물에 녹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소금·분말 주스·나프탈렌을 물에 넣으면 소금과 분말 주스는 잘 녹지만 나프탈렌은 녹지 않는다. 그런데 소금·분말 주스·나프탈렌을 아세톤에 넣으면 소금은 녹지 않지만 분말 주스와 나프탈렌은 일부분만 녹는다. 이처럼 용매 종류에 따라 녹는 물질의 종류가 다르다.
학문 /
화학공학
22.12.09
0
0
가스레인지 불이 파란색인 이유와 파란색 불은 빨간색 불보다 온도가 더 높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알고 있는 불의 색은 빨간색으로 알고 계실텐데요 ~~~연소가 일어날 때는 물질이산소와 결합하면서 열만 내는 것이 아니라 빛을 방출하게 됩니다 빛이 불의 색깔로 나타나게 되는데요 그런데 불의 색이 때때로 조금씩 다르답니다장작은 붉을 불꽃을 내며 타오르는 반면 가스레인지에서는 파란색 불이 나옵니다 왜? 불의 색이 다 ~~ 다를까요?그건 불의 온도가 다 ~~ 다르기 때문인데요 불의 온도가 높을수록 푸른색을 보이게 됩니다 온고 낮을수록 붉은색을 띄게 됩니다
학문 /
화학
22.12.09
0
0
3d프린터에 대해 공부하고 있는데 3d프린터의 원리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3D프린팅 기술의 개념은 무척 간단하다. 컴퓨터의 3D모델링 소프트웨어로 완성한 입체 모형을 여러 층으로 나눠 한 층씩 쌓아 올려 3차원 모형을 완성하는 것이 기본 원리다.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다양한 기술이 혼재하는 상황이다. 플라스틱을 녹여 공기 중에서 굳히는 방식도 있고, 빛으로 굳힌 후 다음 층을 쌓아 모형을 완성하는 방식도 있다.
학문 /
기계공학
22.12.09
0
0
최근 미세먼지가 많이 줄어든거같은데요 왜 그런거죠?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환경부는 11일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24㎍/㎥로, 극심한 고농도 초미세먼지가 발생했던 지난 겨울(33㎍/㎥)에 비해 9㎍/㎥ 줄었다고 밝혔다. 환경부 측은 “올 겨울 처음 시행된 미세먼지 계절관리제에 더해 국외 유입 감소, 코로나19로 인한 경제활동 위축 등의 영향도 겹쳤다”고 설명했다.
학문 /
화학
22.12.09
0
0
철이 산화하거나 염분 노출 시, 녹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1. 물 + 산소 + 철 = 매우많은 녹2. 끓인 물(산소제거) + 기름(산소차단) + 철 = 조금 녹슴3. 제습제(물 제거) + 산소 + 철 = 조금 녹슴4. 기름(산소와 물 모두 차단) + 철 = 거의 없음 위와 같이 물 + 산소의 조건에서는 가장 많은 녹이 발생하고 물과 산소 둘 중 하나만 있을때는 조금의 녹이 둘다 차단했을때는 녹이 거의 발생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2.09
0
0
산불은 가을에 많이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건조한 날씨 때문입니다. 비가 잘 오지 않고 건조하다보니 나무들, 나뭇잎도 잘 말라 있는 상태에서 산불이 나면 거침없이 타오르고 멀리 퍼지게 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2.09
0
0
방탄유리는 어떻게 만들어 집니까?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강화 유리(强化琉璃)는 판유리를 열처리한 후 유리 표면에 공기를 불어 급랭시킨 유리이다. 강도가 크고 깨지더라도 파편이 피부를 다치게 하지 않기 때문에 자동차 창문 따위에 널리쓰인다.방탄유리(防彈琉璃)는 두 유리판 사이에 필름을 붙여 방탄효과를 내는 유리를 말한다. 방탄유리에 총을 쏘면 유리가 깨지지만 깨진 조각이 그대로 필름에 붙은채 파편이 튀지 않고 총알도 유리를 뚫지 못한다. 따라서 유리 반대편에 있는 사람은 안전해진다.
학문 /
화학공학
22.12.09
0
0
퐁퐁에는 계면활성제라는 성분이 들었는데요 어떤 물질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계면활성제는 이름 그대로 서로 다른 성질의 물질이 만나는 면(표면 또는 계면)에서 활성화된 물질이다. 계면활성제를 뜻하는 영어 단어는 surfactant를 사용하는데, 이는 표면 또는 계면을 뜻하는 surface와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이라는 뜻의 active reagent를 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이다. 즉, 계면활성제는 물과 기름처럼 서로 섞이지 않은 경계면에서 활동할 수 있는 분자를 말한다.
학문 /
화학공학
22.12.09
0
0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