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생물) 바다에 있는 야광충이라는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몸은 공 모양으로 지름이 약 2mm이다. 껍데기가 없다. 편모공(鞭毛孔)은 거대하고 입처럼 깊이 패여 있으며 1개의 굵은 촉수가 몸 밖으로 나와 원생동물이나 갑각류의 유생을 잡는 것이 특징이다. 세로 편모는 짧고 편모공 속에 있는데 가로 편모는 변형되어 판 모양이다.세포질 속에 여러 개의 발광성 알갱이가 있어 물리적 자극을 받으면 발광한다. 밤의 해면에서 배가 지나간 뒤 물결이나 파도의 꼭대기가 청백색으로 빛나는 것은 이 종이 있기 때문이다. 이상증식을 하면 적조의 원인이 되며 연안어업에 피해를 주는 일이 있다. 특히 초여름에서 한여름에 걸쳐 바람이 없는 내만(內灣)에서 수온이 다소 높을 경우에 이상번식(異常繁殖)을 하여 바다가 토마토주스와 같은 빛깔이 된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25
0
0
머피의법칙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머피의 법칙’은 1949년 미국의 공군 기지에서 일하던 에드워드 머피 대위가 처음 사용한 말이다. 어떤 실험에서 번번이 실패한 머피는 그 원인을 무척 사소한 곳에서 찾게 되었다. 그때 머피는 ‘어떤 일을 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고, 그 중 하나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면 누군가는 꼭 그 방법을 사용한다’는 말을 했다. 안 좋은 일을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뜻으로 한 말이었지만, 사람들은 일이 잘 풀리지 않고 오히려 꼬이기만 할 때 ‘머피의 법칙’이란 말을 쓰게 됐다.반대로 일이 자꾸 잘 풀리는 것은 ‘샐리의 법칙’이라고 한다. 과학적 근거가 있는 것도 있고 전혀 과학적이지않은 사례도 있다.
학문 /
물리
23.06.25
0
0
여름에 장마철 비가 많이 오는 이유는 어떤이유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올해는 라니냐 등의 요인으로 북태평양 고기압의 세력이 예상보다 약했고 시베리아 지역의 고온현상으로 인해 우리나라 상공으로 차가운 공기가 내려오면서 장마전선이 찬 공기에 막혀 좀처럼 북쪽으로 올라가지 못하였습니다. 따라서, 평년보다 긴 기간동안 한반도 주변에 머무는 장마전선 탓에 장마가 길게 이어질 것입니다.또한, 제주도 남쪽해상 부근에서 불어오는 고온다습한 기류와 우리나라 상공에 머물러 있는 차가운 공기가 서로 대립하는 곳이 바로 장마전선입니다. 북태평양 고기압에 의한 고온다습한 기류 속에 찬 공기가 파고들면서 대기가 급속도로 불안정해짐에 따라 시간당 50~100mm 정도의 매우 강한 비구름대가 지속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입니다.앞서 말씀드렸던 게릴라성 폭우도 이와 같은 원인 때문에 발생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25
0
0
나이 먹을수록 시간이 빠르다고 느껴지는게 과학적으로 증명된데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실제로 인간이 나이가 들수록 시간을 더 빠르게 보낸다는 연구결과가 있다.인간의 몸에는 생체시계가 있다. 소위 말하는 '배꼽시계'처럼 밥 먹을 시간을 알려주기도 하고, 잠을 자고 시간을 인지하는 역할을 한다.피터 맹건 심리학 교수는 나이를 먹을수록 이 생체시계가 느려진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는 20대부터 60대까지 연령별 실험 참가들에게 눈을 감고 3분이 됐다고 생각할 때 스톱워치를 정지하라고 지시했다.연구결과 20대는 평균 3분3초, 60대는 3분40초에 스톱워치를 정지시켰다. 생체시계가 느려질수록 외부의 시간은 상대적으로 빠르다고 느끼게 되는 것이다.이러한 생체시계의 배터리는 중뇌 흑질 영역에 있는 '도파민'이다. 도파민이 많이 분비될 수록 생체시계는 빠르게 돌아간다.문제는 나이가 들수록 체내에 분비되는 도파민의 양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그래서 뇌 안에서 일하는 신경세포들의 정보 처리 속도도 느려진다.
학문 /
생물·생명
23.06.25
0
0
전기차배터리에 화재가 날 때 진화가 왜이리 어렵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차는 내연기관차보다 구조작업 골든타임이 짧다. 충돌 3초만에 800도 이상으로 치솟는 이른바 ‘배터리 열폭주’ 현상 때문이다. 리튬이온 배터리 특성상 한번 화염에 휩싸이면 걷잡을 수 없어 신속한 초동 대처가 내연기관차보다 더 중요하다. 하지만 전기차 운전자를 위한 행동요령 매뉴얼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최근 전기차 보급 급증과 함께 화재 사고가 늘면서 대처 매뉴얼에 대한 교육·홍보에 더 신경써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학문 /
화학
23.06.25
0
0
방사능에도 내성을 가질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과학으로는 방사능에는 내성을 가질 수 없습니다. 그만큼 방사능은 침투력이 강하고, 몸에 축적되고, 사라지는 반감기가 길어서 몸에 쌓이게 되면 이상이 발생됩니다.
학문 /
화학
23.06.25
0
0
알콜솜으로 피부를 닦으면 시원해지는 이유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알코올이 기화되면서 피부 주변부위의 열을 가져가게 됩니다. 그러면서 그 주위가 시원해 지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25
0
0
밀물과 썰물이 생기는 원인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와 달이 태양 주위를 같이 돌고 달은 약 1km/s의 속도로 한 달에 한 번씩 지구의 주위를 돌면서 지구의 바닷물을 하루에 두 번씩 올렸다 내렸다 한다.그래서 지구의 바닷물은 항상 움직이는데 이것을 조석(潮汐)이라고 한다. 물이 들어올 때, 즉 외해에서 내해로 들어오면 만수위가 되고 그 물이 다시 외해로 빠져나가면 저수위가 되어 갯벌이 보인다.이러한 현상을 일으키는 주인공이 달이며 구체적으로는 지구 · 태양 · 달 사이의 인력 작용 때문이다.이렇게 바닷물을 올리고 내리는 힘을 기조력(起潮力)이라 하는데 달과 태양 및 기타 천체에 의해 일어난다.지구와 가장 가까이 있는 달의 영향이 가장 크며 다음으로 태양이 영향을 미친다. 태양은 덩치는 크지만 지구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그 영향력이 달의 기조력에는 못 미친다.밀물과 썰물은 매일 52분씩 늦어진다. 지구가 스스로 한 바퀴 돌아 제자리에 왔을 때 달은 아직 제자리에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25
0
0
조개 속 진주에 생성 과정이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조개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면 격리시키고자 탄산칼슘으로 감싸면서 생기는 것으로, 조개껍데기와 진주는 같은 성분이다.[1]거의 전부가 진주 조개에서 많이 생성되지만 진주조개뿐만 아니고 다른 조개에서도 나오긴 한다[2]. 하지만 확률이 매우 낮고, 예쁜 모양으로 나오긴 더더욱 힘들다. 괜히 '진주조개'가 아니다. 주성분은 탄산칼슘(CaCO3)이다. 광물은 아니지만 보석으로 취급되며 6월의 탄생석이다. 조개껍질에 검은무늬, 노란무늬, 붉은무늬 등이 있듯 진주도 흰색, 검은색, 분홍색 등 개개마다 다른 빛을 가지는데,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진주는 흰색이다. 색채가 엷고 부드러우며, 광택이 아름다워 인기있는 보석이다. 악세사리로 쓰일 때는 고풍스럽고 우아한 분위기를 내기 좋은 아이템이며, 어느 상황에서도 잘 어울린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완전히 둥근 진주를 생각하지만 타원형, 물방울 모양, 별 모양 등 다른 모양도 몇몇 존재한다.
학문 /
생물·생명
23.06.25
0
0
샴푸보다 비누가 환경에 더 좋은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샴푸에 비해서 비누는 회학물질이 덜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샴푸는 화학물질의 총 집합체라고 보시면 되구요. 비누는 대부분 유지(기름)을 이용해서 비누화로 만드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3.06.25
0
0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