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개기월식에서 달이 붉게 변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개기월식은 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위치해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질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11년 이후 3년 만이다. 개기월식 동안에는 지구 대기를 통과한 빛 때문에 평소보다 붉은색의 달을 볼 수 있다.이날 저녁 5시57분에 달이 뜨면 6시14분부터 달의 일부가 가려지는 부분월식이 시작되고,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는 개기월식은 7시24분부터 8시24분까지 한 시간 동안 지속됐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3
0
0
보온병의 과학적 원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열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으려면 고체, 액체, 기체에서 열의 이동 방법을 모두 막아야 한다.주택의 창문으로 사용되는 이중 유리창 속에는 공기가 들어 있고, 이 공기는 열의 전달을 막는 역할을 한다.또 단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 벽돌과 벽돌 사이에는 스타이로폼을 넣는다.소방관이 입는 방열복은 외부의 열이 잘 전달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하여 외부의 열기로부터 인체를 보호해 준다.또 여름철에 야외로 나갈 때 사용하는 아이스박스도 단열이 잘 되기 때문에 차가운 음식을 넣어 두면 오랫동안 차가운 상태가 유지된다.보온병은 열의 이동을 차단하여 물의 온도를 오랫동안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한다.보온병의 벽은 이중으로 된 두 겹의 벽으로 되어 있으며, 진공 상태일 때 열이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벽 사이의 공기를 모두 빼서 진공 상태로 만든다.또 표면을 반짝이게 도금하면 빛을 반사하여 복사로 인한 열의 출입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벽을 은으로 도금하기로 한다.
학문 /
화학공학
22.12.03
0
0
하늘 위에서 번개는 어떻게 생기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소나기구름은 강한 태양광선에 지표의 공기가 가열되어 생기는 상승기류에 의해 발생한다. 여름에 흔히 보는 뭉게구름은 커지고 있는 소나기구름이다. 소나기구름을 구성하고 있는 물방울이 상승기류로 인해 파열되면, 파열된 물방울은 양으로 대전되고 주위의 공기는 음으로 대전된다. 그리고 양의 전하를 가진 물방울은 구름의 상부로 올라가고 음의 전하를 가진 물방울은 구름의 하부에 머무른다. 하부에 음전하가 점점 많아지면 이것은 지상의 양전하가 있는 곳으로 떨어지려고 한다. 주로 나무나 키가 큰 건물 등 뾰족한 곳은 음전하가 떨어지기 좋은 장소이다. 음전하가 떨어질 때 내는 빛에너지가 번개로 나타난다. 지상으로 방전되는 규모는 대단히 크다. 대부분의 번개는 2초 내로 친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3
0
0
비행기가 복엽기에서 왜 단엽기로 바뀌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주날개가 상하 둘 이상으로 되어 있는 다엽기(多葉機)에 비해서 공기저항력을 적게 받으므로 운동성이 우수하여 오늘날의 비행기는 모두 단엽기로 되어 있다. 기체(機體)와 주날개와의 연결 위치에 따라 주날개가 기체의 위쪽에 연결된 것을 높은날개[高翼:high wing], 중간에 연결된 것을 중간날개[中翼:middle wing], 밑에 연결된 것을 낮은날개[低翼:low wing]로 분류하며, 주날개가 기체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지주(支柱)에 의해서 기체의 위쪽에 연결된 것을 파라솔식이라 한다.
학문 /
기계공학
22.12.03
0
0
나뭇잎들은 모양이 다르던데 왜 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같은 종의 나무라 하더라도 놓인 자리나 나이에 따라 그 생김새가 천차만별인 것도 사실이다.그런데 이러한 현상에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게 마련이다.가장 중요한 이유는 햇빛 에너지를 써서 탄소동화작용을 하는 물질대사에 있으며 식물이 자연 상태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여러가지 물질을 얻기 위해서는 먼저 빛을 충분히 받아야 하는데 이 때 잎이 겹쳐지면서 불필요한 그늘이 안 지도록 해야한다.단풍나무는 같은 가지에서 나온 잎인데도 잎자루 길이도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잎몸 크기도 서로 다르게해서 모자이크 모양으로 자란다고 한다.뽕나무는 곧게 자란 가지 아래서 나온 잎은 큰데도 안 갈라지고 가지 위로 갈수록 작고 깊게 갈라져서 빛이 아래 잎들에게 골고루 닿는 것을 알 수 있다.이런 현상은 댕댕이덩굴 잎과 무화과 나무에서도 관찰 할 수 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03
0
0
비가내린뒤 햇살이 비치고나면 무지개 빛이만들어지는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란 한쪽 하늘에 떠 있는 빗방울에 의해 생긴다. 빗방울 반대쪽에서 오는 햇빛이 굴절․ 분광, 반사되어 우리 눈에 보이는 현상이다. 무지개는 하얀 햇빛이 공기와 물 사이를 지나는 순간 여러 가지 색깔로 휘어진다. 빛의 굴절 현상이다. 굴절은 빛의 색깔들이 각기 다른 속도로 빗방울 속을 지날 때 발생한다. 빨강 색은 보라색보다 약간 더 빠르게 통과한다. 이러한 속도 차이로 인해 여러 가지 색깔로 나누어진다. 색깔이 나누어지는 현상을 분광 현상이라고 한다. 무지개는 태양 광선이 빗방울 속에서 일정한 각도로 반사되어 우리의 눈에 보이게 된다. 반사현상이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3
0
0
터널은 누가 만들기 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반대쪽에서 서로를 부르는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고)…터널이 맞뚫렸고, 돌 깨는 사람들이 돌을 팠고 도끼와 도끼가 서로 부딪혔다.’ 기원전 700년께 예루살렘의 히스기야터널(실로암터널)이 관통되는 순간이다. 1880년대에 발견된 ‘실로암 비문’에는 양방향에서 지하 암벽을 뚫고 작업하던 사람들이 중간에서 만났을 때의 모습이 생생하게 담겨 있다.사상 최초의 이 터널은 적의 침공에 대비해 성 밖 기혼샘의 물을 실로암으로 가져오는 수로다. 길이는 530m. 직선이 아니라 S자형으로 구부러져 있다. 여기엔 세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일꾼들이 방향을 잘못 잡아서 그랬다는 것, 또 하나는 땅속 바위 틈으로 흐르던 물줄기를 따라 작업했다는 것이다. 왕들의 무덤 밑을 피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설도 있다.기원전 530년에는 그리스가 사모스 섬의 산을 통과하는 직선형 터널을 만들었다. 1㎞가 넘는 대공사였지만 양쪽 굴착팀이 만났을 때 오류가 3㎝에 불과했다고 한다. 터널 뚫는 기술은 화약 발명 이후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18세기 철도 보급과 함께 착암기와 다이너마이트, 전기뇌관 등을 이용한 근대식 공법이 등장했다.
학문 /
토목공학
22.12.03
0
0
터널은 라디오가 왜 끊기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라디오 주파수가 터널 및 지하에서 잘 통과되지 않고 차단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터널이나 지하에서 라디오가 잘 청취될 수 있도록 조치 중이라네여
학문 /
토목공학
22.12.03
0
0
태양광, 태양열, 풍력, 조력, 파력 발전의 공통적인 장단점은 뭐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원자력에 비해 위험요소가 현저히 적구요, 화력발전에 비해 탄소 배출이 거의 없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학문 /
화학
22.12.03
0
0
지난밤 월드컵16강진출의 행복한 기억속에 궁금한 점 ,축구 중계 시간차?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한국의 16강 진출에 너무나도 기쁘네요. 카타르가 한국보다 6시간 느립니다. 그래서 저녁 이나 새벽에 경기를 볼 수 있는 것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2.03
0
0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