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주휴수당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호정 노무사입니다.주휴수당은 1주 소정근로일 개근 시 지급되는 것입니다.관공서 공휴일응 개인적 사유에 의한 결근이 아니기때문에 주휴수당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12.17
0
0
알바 쉬는 시간 문의드립니당!!!
안녕하세요. 정호정 노무사입니다.8시간 이상 근무 시 1시간 휴게 부여로,11시간 10분 근무라면 마찬가지로 1시간 휴게가 부여될 것입니다.제54조(휴게) ① 사용자는 근로시간이 4시간인 경우에는 30분 이상, 8시간인 경우에는 1시간 이상의 휴게시간을 근로시간 도중에 주어야 한다. ② 휴게시간은 근로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12.17
0
0
4대보험 관련 문의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호정 노무사입니다.1개월 60 시간 이상 근로할 경우 4대보험 가입 대상입니다.건강보험과 국민연금은 근로자가 희망하지 않는 한 1일 입사가 아니면 입사한 달은 보험료를 납부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고용보험만 공제된 것일 듯 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12.17
0
0
연봉계약서 미작성시 불이익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호정 노무사입니다.근로조건 서명 명시 및 교부는근로계약체결 뿐 아니라 근로조건 변경 시에도 의무입니다.제17조(근로조건의 명시) ① 사용자는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에 근로자에게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명시하여야 한다. 근로계약 체결 후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개정 2010. 5. 25.> 1. 임금 2. 소정근로시간 3. 제55조에 따른 휴일 4. 제60조에 따른 연차 유급휴가 5.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근로조건 ② 사용자는 제1항제1호와 관련한 임금의 구성항목ㆍ계산방법ㆍ지급방법 및 제2호부터 제4호까지의 사항이 명시된 서면(「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전자문서를 포함한다)을 근로자에게 교부하여야 한다. 다만, 본문에 따른 사항이 단체협약 또는 취업규칙의 변경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로 인하여 변경되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요구가 있으면 그 근로자에게 교부하여야 한다. <신설 2010. 5. 25., 2021. 1. 5.>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12.17
0
0
퇴사시에는 연차 기준이 몰까요?
안녕하세요. 정호정 노무사입니다.직원 퇴사시에는 직원의 입사일 기준으로 산정한 연차휴가일수와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산정한 휴가일수를 비교하여 정산하도록 하되, 퇴사직원의 입사일을 기준으로 산정한 연차휴가일수보다 부족하지 않도록 한다.=> 원래 연차는 입사일 기준이 원칙입니다. 다만 인사관리의 편의상 회계연도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원칙이 우선되어야 하므로, 재직기간동안은 회계연도로 운영을 하다가 퇴사할 근로기준법 기준이 맞춰 정산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근로자에게 불이익이 없기 위해 정산하는 것입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12.17
0
0
퇴직금 지급기준이 되는 날이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정호정 노무사입니다.2021.5.24 부터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었고 1년 이상 근무하였다면,급여 계좌이체에 뭐라고 적혀있는 상관없이퇴직금 지급대상입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12.17
0
0
1월 퇴사 연차 쓰고 나갈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호정 노무사입니다.2020년 9월 1일에 입사하여 1월 초에 퇴사를 하려고 합니다. 제가 알기로 신입사원은 한달에 연차가 1개만 나온다고 들었는데, 내년(2022년)연차 총 15개를 1월에 몰아서 쓰고 퇴사를 할 수 있나요?연차를 한달에 몰아 사용하여 바로 퇴사하는 것은 가능합니다.연차는 근로자가 청구하는 시기에 부여하는 것이 원칙이기때문입니다.
고용·노동 /
기타 노무상담
21.12.16
0
0
계약직으로 노조가입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정호정 노무사입니다.계약직으로도 노조가입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노동조합 조합원의 가입자격은 해당 노동조합의 규약을 봐야 정확히 알 수 있으나, 기간제 근로자라해도 노동조합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 /
근로계약
21.12.16
0
0
직원의 상조휴무일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호정 노무사입니다.직원의 상조 휴무일수는 며칠을 주어야 할까요?사업주의 재량으로 조절이 가능한가요?=>경조사 휴가는 근로기준법이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회사 재량 으로 결정되는 근로조건입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12.16
0
0
신입사원은 연가가 없는건가요? 있다면 며칠이죠?
안녕하세요. 정호정 노무사입니다.1년 미만 근로자는 1개월 개근 시 1일의 연차가 부여됩니다.첫 1년은 최대 11개가 발생하는 것입니다.연차는 근속년수에 따라 증가하는데 최대 25 일입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12.16
0
0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