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우리나라의 경제가 미국의 방향성을 많이 따라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한국이 수출 지향 국가여서 입니다. 수출로 먹고 사는 국가이니 미국의 정책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받습니다. 내수로 먹고사는 중국, 일본의 경우 그렇게 크게 영향 받지 않습니나.
경제 /
경제동향
22.12.07
0
0
해외주식 거래시 세금을 어떻게 내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네 우리나라만 냅니다. 1년동안 250만원 이상 수익낸거에 대해 그다음해 5월에 세금 신고 하시면 됩니다. 만약 안하면 가산세 20~40% 추가로 내야되고, 신고 이후 납부 안할경우 미납일수에 0.03%가 추가로 붙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7
0
0
경제가 지금 상당히 안좋은데 다시 좋아질 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일단 한국의 경우, 수출지표가 좋아져야 합니다. 수출이 지금 IMF이후 최장기간 적자 신기록 경신 중입니다. 더 안좋은건, 주요 국가들의 비중이 점점 줄어드는 점입니다. 중국 무역지수가 매달 두자릿수 이상 감소 중이며, 유럽도 지금 경기침체다 보니 수출이 상당히 안좋습니다. 즉, 한국은 수출로 먹고사는 국가이므로 다른 국가들이 안좋으면 직격타를 받습니다. 내년 하반기 부터 풀린다고 하나, 그 전까지는 계속 안좋을것 같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07
0
0
고출산 나라가 어느 나라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선진국들은 저출산 국가입니다. 신흥국들이 대부분 출산율이 높습니다. 아프리카 국가들과 인도,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여전히 출산율이 높다고 봅니다. 미국도 한국보다는 높지만, 저출산 국가에 속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07
0
0
마이너스통장은 안심전환대출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네 마통은 안됩니다. 마통은 신용대출 종류의 하나입니다. 안심전환대출은 신용대출은 해당안됩니다.
경제 /
대출
22.12.07
0
0
주식 상장폐지는 갑작스럽게 되기도 하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아니요. 하루만에 그렇게 결정되지 않습니다. 상폐가 된다고 하더라도 1년간 개선기간이 부여됩니다. 즉, 1년동안 재정건전성이나 무능한 경영진 등 일부 조건이 개선된다면 1년뒤에 심사 위원회를 열어서 상폐를 다시 결정합니다. 이떄도 혹시 만족이 안되어서 불만족으로 결정된다면 또 개선기간을 부여할지, 진짜 상폐할지 결정하게 됩니다. 즉, 상폐도 쉽지 않습니다. 최근 사례를 보면 신라젠의 경우도 2020년에 상폐 결정된 이후 2년간의 개선기간 부여 후, 상장 재개가 몇달전에 된 사례가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7
0
0
환율지정국이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미국에서 주요 국가에서 정부가 의도를 가지고 환율을 조정했다면, 미국에서 이를 위험하다고 판단하여 환율지정국 혹은 관찰국으로 지정합니다. 그렇게 되면 외국인 투자가 줄어드는 악영향이 있습니다. 외국인 입장에서야 미국의 안좋은 시선을 받고 있는 나라에 적극적인 투자를 안하겠죠? 자산시장으로 보면 지정국의 주식시장이 젤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경제 /
경제정책
22.12.07
0
0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거래지원 종료라는 뜻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네 해당 거래소에서만 거래가 종료입니다. 즉, 그 거래소에서 상폐로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다른 거래소는 거래가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단, 거래지원 종료면 코인 이전 등이 불가하니, 종료일 전에 판단하셔서 실행하셔야 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7
0
0
상장폐지된 회사가 다시 재상장하려면 조건이 까다롭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네 당연히 상장가능합니다. 단, 조건은 좀 까다롭습니다. 코스피/코스닥 시장에 따라 다르겠지만, 몇년간 일정 금액 이상의 매출액, 영업이익 등이 양호해야 심사 신청이 가능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7
0
0
예금 금리가 지난달에 비해 오히려 떨어졌는데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정부에서 금융회사들한테 예금이율 경쟁하지 말라고 압박을 줘서 그렇습니다. 당분간 큰 상승은 없을것 같네요
경제 /
예금·적금
22.12.06
0
0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