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시장 에서의 공급력과 과점의 관계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대형 할인점은 자본의 힘을 앞세워서, 막대한 공급능력을 바탕으로 값싸게 물건을 제공하는 마케팅 전략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즉 이들에게 가격결정이 있으며, 이는 다른 경쟁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수수의 대형 프렌차이즈가 지배하고 있는 시장으로 과점 시장이 맞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7
0
0
내년에도 시장이 얼마나 안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 장단기 금리차의 역전폭이 역대급으로 벌어져 있고, 당분간 금리하락에 대한 중앙은행의 의지 또한 전혀 없는 상황 입니다. 현재의 금리 수준이 내년도까지 유지 되는 것으로 전망되어, 상황이 좋지 않은 것이 사실 입니다. 하지만 주식은 6개월 정도 선행하고 있어, 지금보다 인플레이션 문제, 경기침체 등이 심각해지지 않는다면 주가 지수는 크게 하락하지 않을수도 있으나, 큰 폭의 회복 또한 기대하기는 힘듭니다. 시장 회복을 위해서는 인플레이션이 완화 되는 것이 선제 조건입니다. 그래야 각국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서 금리 인하를 할 수 있는 통화 정책을 펼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야 개인 소비와 기업 투자도다시 활발해 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7
0
0
금융상품 끝에 UH/H 는 무슨 차이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환 헷지 여부 입니다. UH는 환노출(언헤지)로 환율 변동성에 노출 되는 상품이고, H는 환 변동성을 헷지한 상품 입니다. 어느쪽이 더 유리하다거나 그런 것은 없습니다. 환노출을 한 경우에는 해당 자산의 화폐의 가치가 올라간 경우에는 추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으나, 반대의 경우에는 생각치 못한 손실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투자 당시 상황 등을 잘 고려하여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7
0
0
PMI,PPI 물가지수의 대한 용어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PMI(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리포트는 매달 400개 이상의 기업 구매/공급 관련 중역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출합니다. 전체 측정 지표(신규수주, 수주잔량, 신규 수출수주, 수입, 생산, 공급자 납기, 재고, 고객재고, 고용 및 물가)를 대상으로, 이 조사는 응답자로부터의 긍정적 전망 및 부정적 전망의 차이치 및 경기변동지수를 발표합니다. PPI(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 Price Index)는 제조업자가 판매한 상품의 가격 변동을 측정합니다. 전체 인플레이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비자 물가 인플레이션의 선행지표입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12.17
0
0
연말 주식시장에 산타랠리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저 또한 올 연말 산타랠리를 기대하였습니다만, 지금은 기대치를 많이 내려놨습니다.12월 미국의 FOMC와 ECB의 통화정책 회의에서, 수장들의 강한 매파적인 매세지로 인하여 투자 심리는 많이 위축된 상황입니다.고금리 기조 또한 내년에도 쭉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서, 더욱 더 자산시장에 어려움이 지속 될 것 같습니다.인플레이션이 하루 빨리 정상화 되어, 자산시장에도 안전함이 도래하였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7
0
0
미국 주식 지수투자도 망할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자본주의라는 시스템과 달러 화폐 시스템이 붕괴하지 않고, 미국 경제가 꾸준히 발전한다는 조건이 살아있다면, 꾸준히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세상 일에 절대적인건 없습니다. 투자에는 한번씩 의심을 해보고 점검해보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7
0
0
임금인상이 되면 왜 물가도 같이올라가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임금이라는 것은 한번 오르면 쉽게 내려가지 않은 항목입니다. 그렇기 때문이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쉽게 내려가지 않게 되므로 물가상승을 자극 하는 요소 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7
0
0
일본은 왜 저금리를 고집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본은행이 다른 주요국과 달리 금융완화를 고수하는 배경으로는 상대적으로 낮은 물가상승률과 국채이자 부담이 꼽힌다.미국 및 유럽은 7%, 10% 대의 물가상승률을 보이는 반면, 일본은 2% 수준의 물가상승에 머물러 있습니다.장기금리 상승을 억제하는 다른 이유는 금리 상승 시 일본 정부 부채의 대부분인 10년 만기 국채 이자 상환 부담이 급증할 수밖에 없기 때문 입니다.일본 재무성에 따르면 일본의 국채 잔액은 작년 말 기준 처음으로 1천조엔을 넘은 상황입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경제 /
대출
22.12.17
0
0
달러의 강세와 약세는 누가 결정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환율은 외환시장에서 공급과 수요에 의해서 결정 됩니다.외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그 나라의 경제상황, 통화정책 방향 등의 있습니다.최근에 달러 강세가 진행되다 약세로 전환 된 흐름을 살펴보겠습니다. 달러 강세가 강하게 나타났을 때는 유럽 및 일본 등 다른 선진국에 비해서 경기 상황이 훨씬 양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가장 먼저 긴축적인 통화정책를 시행하였습니다. 금리 인상 속도 또한 엄청나게 가팔랐습니다. 특히 완화정책을 유지한 일본 엔화는 약세가 심하게 진행 되었습니다.최근에는 미국은 금리 인상 속도가 다소 완화되면서 이러한 흐름 또한 완화되면서 미국 달러의 강세 기조에도 변화가 생겼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7
0
0
지금 금리인상시기인데 언제쯤이면 진정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인플레이션이 확실하게 하락해야, 금리 인상 기조가 완화 되면서 자산시장도 안정화 될 것 같습니다.12월 FOMC에서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확실하게 주장하였습니다. 그리고 점도표를 보시면 23년에는 추가로 75bp를 인상하고 유지, 24년에야 금리 인하가 이루어질 전망 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7
0
0
1162
1163
1164
1165
1166
1167
1168
1169
1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