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강형봉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형봉 전문가입니다.

강형봉 전문가
국기연
식습관·식이요법
식습관·식이요법 이미지
Q.  몸에 열을 내리는데 도움주는 음식도있나요?
안녕하세요. 강형봉 영양전문가입니다.열 많은 사람이 섭취하면 좋은 음식은 차가운 성질의 육류(돼지고기, 오리고기), 차가운 성질의 해산물(잉어,붕어, 갑각류, 해삼, 오징어, 광어,미역 등), 차가운 성질의 채소류(상추, 배추,시금치, 쑥,가지, 오이 등), 찬성질의 곡류(팥, 보리, 녹두,메밀, 밀가루,고구마 등), 차가운 성질의 과일(딸기,배,바나나, 키위, 수박, 귤, 포도, 파인애플 등)이 있습니다. 그외에 주류는 맥주 입니다열 많은 사람이 피해야할 음식은 향이 강한 식품(마늘, 생강), 신진대사를 빠르게하여 체온을 높일 수 있는 식품(대추, 인삼), 이외에도 찹쌀,꿀, 카레, 고추, 겨자, 계피 등은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그외 소주, 막걸리는 열을 나게 하므로 피해야 합니다각자 체질이나 건강상태에 따라 맞는음식과 맞지않는 음식이 있기때문에 잘 선택하여 섭취바랍니다.
기타 영양상담
기타 영양상담 이미지
Q.  일반 소고기나 돼지고기를 구우면 트랜스지방이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강형봉 영양전문가입니다.지방은 크게 포화지방, 불포화지방, 트랜스지방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눕니다.그 중 트랜스지방은 대부분 식물성 기름에 수소를 첨가하는 경화 공정으로 생산된 부분경화유에 전체 지방의 40%정도 함유되어 있습니다. 또 식물성 기름(대두유, 옥수수유, 팜유 등)의 정제과정에 고온처리(240°C)를 가할 경우에도 전체 지방의 2% 생성 될 수 있다고 합니다. 트랜스지방은 마가린, 쇼팅에 포함되어 있고 부분경화유로 튀긴 음식에 함유되어 있습니다.포화지방은 일부 식물성 기름에도 있는데 대게 동물성 기름을 가리킵니다.소기름, 돼지기름, 버터(동물섬기름), 팜 유, 코코넛 오일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포화지방을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지방간의 위험이 높고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증가시켜 심혈관 질환과 비만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불포화지방은 주로 견과류, 채소 및 씨앗에서 발견되는 식물성 지방입니다. 그리나 고등어 등 등푸른 기름진 생선에도 함유되어 있습니다. 불포화지방은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트리고 염증을 완화해 주기때문에 혈액순환, 혈관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트랜스지방은 인체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으며 동맥경화 환자에게는 오히려 포화지방 보다 해로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유럽심장학회에 따르면 하루 5g의 트랜스지방을 섭취하면 심장병 발병률이 23% 높아진다고 합니다.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심장협회는 하루 섭취 열량 중 트랜스지방에 의한 열량이 1% 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소고기와 돼지고기 등 동물성 기름인 포화지방을 함유한 육류를 구울때, 트래스지방이 생성 된다는 연구결과는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포화지방의 결합 구조는 안전하기 때문에 외부의 열에도 강하고 안전해서, 소고기 등 돼지고기를 불에 구어드셔도 트래스지방은 생성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하지만 마가린, 쇼팅 등 부분경화유로 만든 기름으로 사용한 식품이나, 액상인 식물성 기름을 사용하여 고온(240°C 이상)으로 튀긴 음식은 트랜스지방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타 영양상담
기타 영양상담 이미지
Q.  어머니가 챙겨주시길래 팥죽을 먹긴했는데 동지에 왜 팥죽을 먹나요?
안녕하세요. 강형봉 영양전문가입니다.팥죽을 먹는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아래 소개자료를 참고 바라며, 팥죽 효능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팥은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소화기능을 촉진하고 영양소 흡수를 도외줍니다.팥에 들어있는 식이섬유는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데 도움을 주며 당뇨병의 위험을 줄여 줍니다.그리고 심장 건강 증진, 뼈와 피부의 건강을 증진, 간 해독에 중요한 역활을 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또한 팥죽은 다이어트 식품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팥죽을 먹는 이유는 아래 소개자료를 참고 바랍니다.24절기의 하나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을 뜻하는 동지(冬至)날 팥죽을 먹는 이유에 대해 각 지역별 세시풍속 정보가 공개됐다.지난 18일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지역별 겨울의 세시풍속 엿보기’를 주제로 동지날 팥죽을 먹는 이유에 대해 ‘지역N문화’ 누리집 콘텐츠를 통해 설명했다.이에 따르면, 과거 서울 성동구에서는 동지날 찹쌀로 만든 새알심을 넣고 팥죽을 끓였다. 끓인 팥죽을 조상에게 올리고 집안 중요한 가택신에게 한 그릇씩 떠 놓고 집안 내의 평안과 소원 성취를 빌었으며 대문, 담, 벽 등에도 뿌렸다. 가족원들은 새해의 나이 수대로 새알심을 먹고 이웃집과 나눠 먹기도 했다. 단, 열병으로 죽은 사람이 있으면 그 집안에서는 동지 팥죽을 쑤어 먹지 않았다고 한다.경북 울진군에서는 집안에 임산부가 있으면 새알을 이용해 태어날 아이의 성별을 점치기도 했다. 강옥랑(79ㆍ여)씨는 첫째 아이를 임신했을 때, 남편과 함께 새알로 성별을 점쳐 보았다. 강씨는 “우리 부부가 새알을 비볐더니 안에서 쑥 빠져 나왔다. 그래서 아들이라는 것을 알았다”라며 “(새알이) 갈라지면 딸이고 쑥 나오면 아들”이라고 설명했다.강원 춘천시 등 영서 지방에서는 개울물에 싸리나 닥나무로 엮은 샆을 놓아 고기를 잡기도 했다. 동짓달의 시식으로는 냉면, 동치미 등이 있으며 곶감을 꿀물이나 설탕물에 담가 먹었다. 생강, 잣, 계피가루를 넣어서 차게 한 후 먹는 수정과는 경사스러운 잔치에 쓴다고 전해진다.‘지역N문화’ 누리집의 지방문화원 자료 카테고리에는 동지를 포함해 약 1300건이 넘는 세시풍속 자료들이 수록돼 있다. 집필한지 30년이 지난 오래된 자료부터 최근 자료까지 지역별 세시풍속 내용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자료들은 ‘지역N문화’ 누리집 내 온라인 열람 및 지방문화원 방문 열람이 가능하다.한국문화원연합회 관계자는 “‘지역N문화’ 누리집은 전국 지방문화원 230여 곳의 발간자료를 비롯해 지역문화 관련 자료를 확보해 특색 있는 고유문화 및 당시 시대상을 전하고 있다”라며 “이곳에 수록된 다양한 세시풍속 자료를 통해 우리 지역 곳곳에 담긴 이야기에도 많은 관심 바란다”고 전했다.
식습관·식이요법
식습관·식이요법 이미지
Q.  기관지에 좋은 작두콩차는 계속 마셔도 영양상 문제 없나요?
안녕하세요. 강형봉 영양전문가입니다.작두콩차 먹으면 안되는 사람은 첫째, 몸에 열이 많은 사람입니다. 작두콩차는 뜨거운 성질을 지니고 있어서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이 장기적으로 마신다면 열이 오르고 두통, 복통 여드름 같은 피부질환이 생긴다고 하네요. 열이 많은 사람은 자주 마시지 않도록 주의 바랍니다. 둘째, 저혈압 증상을 가지고 있는 사람입니다. 고혈압 예방에는 좋지만 반대로 저혈압 이신 분들은 혈압이 더욱 낮아지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세째, 장이 약한 사람입니다. 작두콩은 변비 예방에 효능이 있지만 장이 안좋은 분이 자주 마신다면 복통,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고 하네요.위 세가지에 해당되는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작두콩차를 추천드리고 싶습니다.작두콩에는 유익한 영양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예로부터 작두콩을 말려 차로 즐겨 드시는 사람이 많았습니다.작두콩에는 단백질을 비롯한 식이섬유와 칼륨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특히 히스티딘, 사포닌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축농증 등 비염 질환이 있는 분들에게 작두콩차를 권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작두콩차는 면역력 향상, 혈관 건강증진, 구강질환 개선, 변비 예방 및 다이어트 식품, 시력 개선, 신장기능 개선 등의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다이어트 식단
다이어트 식단 이미지
Q.  늙을수록 식단 열량을 줄여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강형봉 영양전문가입니다.사람에게 하루 필요한 열량(칼로리)은 나이, 성별, 체중, 키, 근육골격, 활동량 등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남자 하루 권장 열량은 6~8세는 1,800kcal, 9~11세는 2,000kcal, 11~14세는 2,400kcal, 15~19세는 2,900kcal, 20~29세는 2,700kcl, 30~49세는 2,600kcal, 50~64세는 2,400kcal, 65~74세는 2,200kcal, 75세 이상 2,200kcal 입니다.여자 하루 권장 열량은 6~8세는 1,500kcal, 9~11세는 1,700kcal, 11~14세는 2,000kcal, 15~19세는 2,700kcal, 20~29세는 2,600kcl, 30~49세는 2,400kcal, 50~64세는 2,200kcal, 65~74세는 2,000kcal, 75세 이상 2,000kcal 입니다. 단 임신여성의 경우 전반부는 +340kcal, 후반부는 +450kcal, 수유시는 320kcal를 더 권장하고 있습니다.
39639739839940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