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습관·식이요법
Q. 열많은사람이 먹으면안되는 음식이있나요?
안녕하세요. 강형봉 영양전문가입니다.열 많은 사람이 섭취하면 좋은 음식은 차가운 성질의 육류(돼지고기, 오리고기), 차가운 성질의 해산물(잉어,붕어, 갑각류, 해삼, 오징어, 광어,미역 등), 차가운 성질의 채소류(상추, 배추,시금치, 쑥,가지, 오이 등), 찬성질의 곡류(팥, 보리, 녹두,메밀, 밀가루,고구마 등), 차가운 성질의 과일(딸기,배,바나나, 키위, 수박, 귤, 포도, 파인애플 등)이 있습니다. 그외에 주류는 맥주 입니다열 많은 사람이 피해야할 음식은 향이 강한 식품(마늘, 생강), 신진대사를 빠르게하여 체온을 높일 수 있는 식품(대추, 인삼), 이외에도 찹쌀,꿀, 카레, 고추, 겨자, 계피 등은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각자 체질이나 건강상태에 따라 맞는 음식과 맞지 않는 음식을 선택하여 섭취바랍니다.
기타 영양상담
Q. 오리고기 기름은 정말 몸에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강형봉 영양전문가입니다.오리고기의 기름은 동물성 지방이지만 불포화 지방의 비율이 높다.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돼지고기의 두 배, 닭고기의 다섯 배, 소고기의 열 배에 달한다. 그러나 이는 '절대량'을 말하는 것이며, 소나 돼지는 부위별로 지방 함량이 차이가 크다.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다고 좋다고만 볼 것은 아니다. 불포화지방도 일단 지방인지라 칼로리가 9kcal/g 되어 높다. 그러므로 많이 먹고 운동 안하면 살찌는 건 마찬가지다. 오리고기가 건강에 좋다는 근거들을 정리해 놓은자료를 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오리의 기름은 수용성이다?'상온에서 액체'라는 말이 와전되어 생긴 속설인 듯. 정말 오리기름이 수용성이었다면 오리 요리를 먹은 뒤의 설거지가 매우 쾌적했을 것이나 현실은 전혀 그렇지 않다. 물론 수용성 기름이 없지는 않지만 크릴 오일 등의 극소수만 존재한다.둘째, 오리고기는 먹어도 살이 찌지 않는다?오리고기를 먹어도 오리고기의 지방은 불포화 지방산이라 몸에 흡수가 안 되고 그대로 배출되므로 살이 찌지 않는다는 낭설이 있는데, 이는 사실무근이다. 사람의 몸은 불포화 지방산도 소화시켜 흡수할 수 있다. 흡수가 안 된다면 그건 소화불량이다. 불포화 지방산은 몸에 흡수가 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체내에서 콜레스테롤로의 전환 비율이 낮다는 차이만 있지 에너지원으로써는 죄다 똑같은 지방이다. 그러므로 오리고기내 지방 1g 당 9kcal의 열량을 갖는다는 것도 변함없고, 역시 많이 먹어서 남아도는 열량이 발생할 경우 당연히 체지방으로 축적되니 적당히 먹자. 애초에 물이 아닌 이상 모든 음식은 아주 조금이라도 칼로리가 있다. 오리도 많이 먹으면 당연히 살 찐다.셋째, 오리고기는 저열량이다?오히려 고열량이다. 오리고기의 지방은 고기 100g 당 21~28g에 달하며 이는 삼겹살의 지방량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자세한 식품 성분은 이쪽으로. 농촌진흥청 농식품종합정보시스템 생오리 살코기만 봐도 100g 당 8g 가량의 지방이 들어 있는데, 껍질 벗긴 살코기는 100g 당 151kcal 가량의 열량을 내며 생오리는 300kcal 내외. 물론 구워서 기름을 뺀다면 조금 줄어들기는 하겠지만 그래도 저열량으로 취급할 수준은 절대 아니다.넷째, 오리고기는 알칼리성이라 몸에 좋다?오리고기는 알칼리성 육류기 때문에 몸의 산도를 균형있게 잡아주며, 산성 채소인 파파오리와 궁합이 좋다는 낭설이 퍼져 있으나, 솔직히 따져보면 틀린 말이다. 왜 거짓인지는 산성체질론 문서를 참고하면 좋다. 물론 채소를 곁들여 먹는 것 자체는 영양학적으로도 바람직한 식습관이며, 전문가들은 오리고기의 지방에 알싸한 파의 맛이 어우러져 맛도 더 좋아진다고 평가하니 곁들이는 것은 나쁘지 않다.다섯째, 불포화 지방산이 많아 몸에 좋다?포화 지방산이 몸에 나쁜 것은 맞는데, 그렇다고 불포화 지방산이 몸에 좋은 것까진 아니며 그냥 우리 몸에 해롭지 않은 수준이다. 포화 지방산을 불포화 지방산으로 대체하는 것이 좋은 것이지, 포화 지방산은 포화 지방산대로 먹으면서 불포화 지방산을 추가로 섭취하는 것은 전혀 좋지 않다.게다가 오리고기에 포화 지방산이 없는 것도 아니다. 농진청에서 운영하는 농식품종합정보시스템 정보에 의하면 오리의 지방산은 오리고기 100g 중 총 지방산은 25.86g이며, 이 중 포화 지방산 7.95g, 단일 불포화 지방산 13.99g, 다가 불포화 지방산 3.92g. 지방산 중 올레산이 50%를 차지하고 나머지는 리놀레산(필수 지방산 중 하나) 14%, 팔미트산 22%, 스테아르산 8% 등이다.(팔미트산과 스테아르산은 포화 지방산) 어쨌든 불포화 지방산과 필수 지방산 함량이 높아 돼지고기나 쇠고기 등 다른 고기보다 혈관에 덜 나쁘긴 하지만, 심장과 혈관 건강 생각한다면 기름 자체를 적게 먹어야 하며 닭가슴살이 100배는 더 좋다.이러한 비과학적 주장들이 생긴 것을 거슬러 올라가보면 오리고기 판매업자의 마케팅에서 시작되었다. 같은 아시아권인 중국에서는 오리고기를 굉장히 좋아하며 일본에서도 오리를 잘 먹는데 어째선지 국내에서만 별 이유도 없이 닭과 돼지나 소에 밀려 별미 정도로만 취급되어 소비량이 적었던 탓에 대중들을 사로잡기 위해서는 건강에 좋다고 마케팅하는 게 제일 효과적이었던 것. 건강에 좋다는 속설 때문에 까마귀도 먹었는데 오리야 오죽할까. 결국 국내에서도 오리요리를 다루는 음식점이 눈에 띄게 늘어났고 어지간한 슈퍼에도 포장된 훈제 로스 하나쯤은 보일 정도로 오리고기를 보급시키는 데 성공하고야 만다.
다이어트 식단
Q. 간헐적 다이어트 해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강형봉 영양전문가입니다.몸에 이상이 있으면 전문의사의 도움하에 운동이나 음식을 추천받아 실행하길 권합니다.보편적으로 몸 무게를 줄이기 위해서 운동을 병행한 다이어트를 실시합니다.운동하는 큰 이유는 음식에서 얻은 열량(칼로리)을 빨리 소모시켜 체지방으로 축적을 막거나 감소시키는 것입니다. 그리고 운동은 몸의 근육질을 늘려 기초대사량을 높게하여 칼로리 소모를 증가시키고 체지방으로 축적을 막거나 감소시킵니다.음식으로 체중을 줄이기 위해서는 사람이 하루 필요한 열량 보다 적게 음식을 섭취하는게 중요합니다.성인 하루 권장(필요) 열량은 대략2,000~2.700kcal 정도입니다.하루 권장(필요) 열량 보다는 적게 섭취하고 기초대사량(1,200~1,500kcal) 보다는 더 많이 섭취해야 건강을 해치지 않고 체중 감량을 할 수 있습니다.일정기간을 정해 매일 기초대사량 보다 200~300kcal씩만 더 섭취한다면 부족한 칼로리를 체지방에서 공급되기 때문에 체중이 줄어들게 될겁니다.현재 먹고있는 음식이 하루 필요 열량 보다 초과되지 않았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보시기 바랍니다.음식에 들어있는 영양성분 중 3개 영양소(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함량만 알면 계산 할 수 있습니다.탄수화물은 4kcal/g, 단박질 4kcal/g, 지방 9kcal/g 열량 입니다." 예를들어"1. A 남자 1끼 식사량이 탄수화물 50g, 단백질 30g, 지방 20g을 섭취할 경우 열량은 500kcal 입니다. 2.위 식단으로 3끼를 먹을경우 하루 섭취 열량은 1,500kcal 됩니다.3. A 남자 하루 필요 열량 보다 적게 섭취하므로 부족분 1,200kcal는 체지방을 분해하여 에너지로 사용합니다.4. 따라서 체지방이 분해된 1,200kcal 만큼 체중이 약 133g 정도 줄어들게 됩니다.
다이어트 식단
Q. 다이어트 하려고 식단 짰는데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강형봉 영양전문가입니다.고구마 100g에는 대략 열량이 145kcal 정도입니다. 영양소별로 구분해 볼 때 탄수화물이 135kcal, 단백질은 7kcal, 지방은 3kcal 정도 입니다.구운계란은 중란으로 계산할 때 2개는 약 80g 정도 될 듯 하며, 열량은 130kcal 정도입니다.바나나 1개가 대략 100g 일때 열량은 90kcal 입니다.바나나어 대부분의 영양소는 탄수화물입니다.즉, 고구마 100g, 구운계란 2개, 바나나1개로 1끼 식사를 할 경우 열량은 대략 365kcal입니다 일반식 1끼는 대략 500kcal 라고 할때 질문자가 편성된 식단은 하루 865kcal로 계산됩니다. 사람이 아무것도 아니하고 숨만 쉴 때 하루 필요한 기초대사량은 나이, 성별, 체중 ,근육량 등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평균 1,200~1,500kcal입니다. 사람이 움직이고 활동할 때는 에너지가 더 필요 하겠지요.이것을 하루 필요 열량(칼로리) 이라고 하는데 성인은 하루 평균 열량은2,000~2,700kcal 입니디.체중 감량이 목표니까 하루에 음식섭취량은 기초대사량 보다는 약간 많은 1,400~1,800kcal 칼로리만 섭취한다면 부족한 칼로리는 체지방을 분해해서 에너지로 공급받기 때문에 몸 무게는 줄어들 듯 합니다.귀하가 하루 섭취하는 열량을 대략 계산해볼 때 865kcal 밖에 안되므로, 기타 음료 등 간식을 먹지 않고 장기간 위 식단 열 량으로 섭취시는 하루 기초대사량 칼로리 보다 낮기때문에 건강상 문제가 야기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