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부동산의 양극화 이게 점차 심해질까요?
안녕하세요. 고수영 공인중개사입니다.실제 데이터 기준으로 보면 2025년 기준 서울 아파트는 20주 연속 상승, 강남구는 15.8%상승 했으며 부산 해운대구는 4.8%하락등 수도권과 지방 격차가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습니다.지방은 미분양이 쌓이며, 매수 수요가 줄어서 집값 하락과 침체가 이어지고 있습니다.양극화가 생기는 현상은 우선 수도권에 인구, 일자리,교육, 교통 등 핵심 인프라가 서울·수도권에 몰리면서 실수요자와 투자수요가 계속 집중되고 있습니다.지방인구 감소·경제 침체도 한몫 할 수 있습니다. 지방은 인구 유출, 산업침체, 미분양 증가등으로 수요가 줄면서 자연스럽게 집값 하락이 오고 정체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다주택보다는 똘똘한 한채 선호현상으로 인해 서울 핵심지 및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현상이 되고 있습니다.이상입니다.감사합니다.
Q. 이번 대선으로 부동산이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고수영 공인중개사입니다.세금으로 집값 억제 하지 않겠다는 명확한 입장을 하여 실수요자 세금 부담 줄이고 다주택자등 투기성 자사에 과세를 유지하는 기조입니다.공급 확대중심으로 250만가구 공급, 4기 신도시개발, 재건축, 재개발 규제완화, 유휴부지 주택화 공급 중심 정책을 내세우고 있습니다.단기적으로 집값 상승세는 지속될 것 으로 보입니다.금리인하와, 똘똘한 한채(인기지역 수요 집중), 공급 부족 현상으로 인해 서울 강남 3구 및 마용성등 핵심지역의 집값은 계속 오르고 지방은 침체되는 양극화 연상이 심화 될 수 있습니다.재건축, 재개발 같은 경우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정책이 아니다 보니 실행속도가 중요한 관건이 될 것 입니다.집값이 단기간에 급락 하기 보다는, 정책 실행 속도에 따라 점진적 안정 또는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