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한국의 수출 전략 변화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을까요?
대외경제 정책연구소의 보고서에 따르면 과거 우리나라는 첨단기술, 공급망과 관련된 전략 동맹을 미국과 추진하고 한미일 공조를 가시화함으로써 미국의 ‘프렌드쇼어링(friend-shoring)’ 전략에 참여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었습니다. 다만, 과거 사드(THAAD) 배치로 인해 중국의 통상압력을 경험한바, 한미 동맹이 경제안보 영역으로 확장ㆍ강화됨에 따라 중국의 경제 강압, 경제적 종속의 무기화 등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 면이 많았다고 합니다. 최근 중국의 한한령이 풀리고 정세 변화에 따라 한-미-일 공급망도 유지하면서 중국과의 관계도 풀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Q. 미국 EU 무역기술위원회(TTC) 회의, 한국 무역 정책에 어떤 시사점을 줄까요?
가장 최근의 TTC 회의에서는 반도체 공급망 보호, AI·6G 등 신흥기술 표준 등에 대한 제5차 회의)의 논의 내용을 구체화하였다고 합니다. 주용 세부 내용으로 '양측은 반도체 공급망 보호를 위한 행정조치 연장에 합의하고, EU 회원국이 투자심사 메커니즘을 개발·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 - 또한, 제재·수출통제 우회에 대응하고 수출통제에 대한 국제적 조율을 강화하여 제재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공동대응을 강조' 하였다고 하고 이에 대한 우리나라의 반영은 수출 통제에 대한 정밀한 분석으로 對러·벨 수출통제를 일관성 있게 적용하고 국제협력 도모에 기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