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캐나다는 미국의 주요 수입시장인데요 캐나다에서는 미국에 어떤 제품들을 수출하는가요
산자부의 23년 도 자료에 따르면 아래와 같습니다. 캐나다는 미국에 주로 원유 , 승용차 , 석유가스를 수출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 미국의 수입 규모] 미국은 전 세계 각국으로부터 2조7,300만 달러에 달하는 상품을 수입 수입액 규모로 보면 멕시코(13.2%)와 캐나다(13%)가 중국(19.4%)에 이어 각각 2, 3위 자리에 포진[ 미국과 캐나다간 교역 ] 미국의 캐나다 수출품목 중에서는 승용차(5.3%), 화물자동차(4.61%), 자동차 부품 및 액세서리(3.79%) 등 자동차 관련 제품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 캐나다로부터의 수입품목은 원유(22.2%), 승용차(7.44%), 석유가스(3.77%)로 원유가 큰 격차로 1위를 기록[ 캐나다의 대 미 교역 ] 캐나다의 세계 수출액 및 수입액은 각각 4,840억 달러, 4,670억 달러를 기록했고, 그중 대미 수출 및 수입 비중이 각각 73.4%, 55.6%나 돼 미국에 대한 교역의존도가 상당히 높음
Q. EU와 미국 간 무역 협상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트럼프 2기 정부에서는 다음달 12일부터 수입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보편관세 부과를 예고하였고 폰 데어 라이엔 EU집행위원장은 이를 ‘불법적 행위’로 규정하고 ‘단호하고 균형잡힌 대응’을 공언한 상황입니다 다만, 회담에서는 중국의 철강 공급 과잉 문제를 함께 해결하자고 제안하며 협상 의지도 같이 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EU는 협상 불발에 대비해 대응 조치를 구상중이며 EU는 트럼프 1기 행정부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에 대응해, 할리데이비슨 오토바이, 리바이스 청바지, 크랜베리 주스 등에 약 28억 유로의 관세를 부과한 것처럼, 상징적인 차원의 보복 관세 부과 방안을 고려할 가능성이 높음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유럽연합에 대한 대응을 확인 하고 대응 책을 마련할 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