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이번 정부에서 민생을 회복하자는 취지로 일인당 민생지원금 지급을 검토하고 있다고 하는데, 어떤 내용인가요?
정부는 내수 부진을 타개하고 민생을 지원하기 위해 2차 추경안을 통해 ‘민생회복지원금(민생지원금)’ 지급을 준비 중이라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으로는 소득 수준에 따라 1인당 최소 15만 원에서 최대 50만 원까지 차등 지급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고 전 국민에게 기본 15만 원을 지급하고, 차상위 계층·한부모 가족은 30~40만 원,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에게는 최대 50만 원, 소득 상위 10%는 10~15만 원 수준으로 지급하는 방안이 논의된 다고 합니다.
Q. 현재 중동에서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 따라서 우리나라 금리에 영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중동은 세계 원유 공급의 중심지역이기 때문에 긴장이 고조될 경우 국제 유가가 급등할 수 있습니다. 이경우 유가 상승은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가격을 끌어올리고, 이는 결국 물가 상승(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이어지는결과가 나오게 될것입니다. 이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기준금리를 인상하거나 인하를 지연시키는 등 통화정책을 보다 긴축적으로 운용하게 되면 금융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금리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중동 불안은 글로벌 자본 이동의 요인이 되어 위험 회피 성향이 강해지면서 신흥국 자산에서 안전자산인 미국 국채, 달러 등으로 자금이 이동하게 되고, 이는 미국 채권 수요 증가와 금리 하락이라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을 것입니다.
Q. 우리나라는 G7 회원국도 아닌데 초청 받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dnflskfksms 호주, 인도와 함께 ‘민주주의 기술 민주국’ 구상인 D‑10, G7 Plus 논의에도 한국은 핵심 지위로 부상하고 있고 이번 회의에서 캐나다 의장국이 아시아 전략적 중요성을 감안해 한국, 호주, 인도, 멕시코 등을 초청한 것과 동일 선상에 있을 것 입니다. 또한 정책·외교 측면에서, 이번 초청은 한국의 외교·안보 리더십 복원, “코리아 이즈 백” 선언의 목적과 G7 연례 정상회의 참가를 통해 한·미·일 협력, 우크라이나·대중국 견제, 에너지·기술 안정성 등의 다자 협력 네트워크 내에서 중요한 파트너로 자리잡으려는 행보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