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퇴행성관절염이 손가락에 온 것 같은데요.
안녕하세요. 권만순 물리치료사입니다.퇴행성 관절염은 자주 쓰는 관절의 연골이 퇴화하면서 발생 하는데요... 손가락을 포함해 여러 관절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손가락 외에도 발가락, 무릎, 팔꿈치 등 다른 관절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침에 일어날 때 관절이 뻣뻣하고 저린 증상은 흔히 나타나는 것으로, 관절이 오랜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으면 이런 증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나 류마티스 내과를 방문하여 피검사나 영상검사도 하셔서 정확한 진단을 먼저 받으시고, 손과 발을 따듯하게 해주시고, 병원에서 처방해주는 약물치료도 도움이 될 겁니다..
Q. 턱관절장애 목근육,어깨근육 땡기는 증상
안녕하세요. 권만순 물리치료사입니다.오른쪽 턱에 이상이 있고 개구편위 증상과 관련이 있다면, 턱관절 문제와 함께 목과 어깨 근육의 긴장도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목 근육과 어깨 근육의 경직은 턱관절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불편함을 느끼는 것은 치료가 필요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우측 턱과 연결된 어깨근육은 흉쇄유돌근이라는 근육인데 이 근육을 먼저 손으로 자주 풀어보심이 좋고, 이를 자가치료 해도 완화되지 않는다면 근처 정형외과나, 신경외과로 가셔서 턱관절과 어깨가 아프다고 하시면 치료 할 때 흉쇄유돌근에 주사치료나 약물치료, 물리치료, 도수치료등을 해주실 겁니다. 가능하면 셀프로 먼저 해보세요.
Q. 허리디스크 환자 언제부터 런닝가능?
안녕하세요. 권만순 물리치료사입니다.일반적으로 디스크 손상 후 3~6개월 정도는 충격을 주지 않는게 좋습니다. 다만 사람마다 회복 되는 속도가 다르기에, 작성자분께서는 아직 젊으시기 때문에 지금도 충분히 가능 할 듯 합니다. 먼저 가벼운 걷기부터 해보시고, 저림이나 통증이 증가 되거나 발생되는 경우 운동 시간, 보폭, 속도, 거리를 체크 한 뒤 통증이 나타나지 않게 앞에 내용들을 수정해 가며 운동 하시는것을 추천 드리며 점진적으로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 디스크의 경우 수직으로 버텨주는 구조이기 때문에 체중을 너무 과하게 앞으로 숙이거나, 뒤로 젖히는 동작만 피하시면 되고, 일상 생활 할 때도 아프다면 허리 보호대라던지, 온찜질을 자주 해주시면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