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권명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전문가입니다.
권명희 전문가
이리초등학교/방과후학교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7월 28일 작성 됨
Q.
아이가 초등학교 1학년인데 혼자 밥을 잘 안먹습니다. 어떻게 습관을 들여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초등학교 1학년 정도면 혼자서도 충분히 잘 먹을수 있습니다. 아무리 아이가 밥을 먹여달라고 해도 먹여주는 습관은 버릇만 나빠지고 주도적이지 못하는 아이로 성장할수 있습니다. 혼자서도 충분히 밥을 잘 먹을 수 있는 아이에게 밥은 혼자서 스스로 알아서 먹는 것임을 강조하고 초둥학생을 떠먹여 주는 것은 창피한 일이라고 설명해주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부모님께서 떠먹여 주지 않으면 아이스스로 잘 먹을수 있다고 봅니다.
놀이
2024년 7월 28일 작성 됨
Q.
자녀의 창의력 개발을 위한 활동과 놀이 추천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자녀의 창의력 향상과 상상력,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블록놀이나 퍼즐놀이, 보드게임, 역할놀이, 미술놀이, 지점토놀이등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7월 28일 작성 됨
Q.
육아휴직 중 아기를 어린이집 보내면…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육아휴직은 부모가 자녀를 돌보기 위해 사용하는 휴가로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것은 부모의 선택입니다. 따라서 육아휴직중에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낸다고 해서 유아휴직의 취소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7월 28일 작성 됨
Q.
곧 출산예정인데 젖병은 구입시기 및 모유수유 적정기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젖병은 모유 수유가 어렵거나 분유를 먹일때 젖병이 필요하기 때문에 아이가 태어나면서 부터 필요합니다. 또한 모유수유 기간은 세계보건기구(WHO)와 유니세프는 생후 6개월까지는 권장합니다. 모유수유는 상황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아기에게 필요한 모든 영양소를 제공하는 6개월까지는 먹이는 것이 좋으며 6개월이후 이유식을 시작하면서 모유수유를 병행해도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7월 28일 작성 됨
Q.
때 쓰는 6살 여자아이 어떻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은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거나 맘대로 되지 않을때 떼를 부리는 것은 성장과정에서의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아이가 떼를 부리며 소리를 지른다고 해서 부모님의 감정이 격해져서 같이 언성을 높이는 것은 아이의 교육상 좋지 않습니다. 감정이 올라오더라고 쉼호흡 한번 하고 감정을 조절하고 아이가 왜 떼를 쓰는지 원인을 알아보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아이의 감정이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해주는 것이 필요하며 떼쓰지말고 말로써 표현을 할수 있도록 아이의 눈높이에서 설명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7월 28일 작성 됨
Q.
자녀 대변 닦는 것 알려주는 시기로는 언제가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배변후 뒷처리는 일반적으로 아이가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말을 알아들을 정도인 4세에서 5세 사이에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시기는 신체적, 인지적으로 충분히 발달하여 스스로 뒤처리를 할수 있는 능력을 갗추었다고 보면 됩니다. 따라서 아이가 5세 라면 서서히 배변의 뒷처리 연습을 시켜는것이 좋습니다. 인형을 통해 뒤처리 연습을 해보거나 아이가 화장실에서 볼일을 본고 난후에 뒷처리 하는 방법을 반복적으로 연습을 하셔도 좋을듯 합니다.
놀이
2024년 7월 28일 작성 됨
Q.
아이들에게 산타클로스는 있다고 하는게 좋을까요? 없다고 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이 어느 정도 나이가 들면 산타클로스의 진실에 대해 자연스럽게 알게 됩니다. 산타클로스가 존재하고 있다고 믿는 아이들에게는 그 믿음을 존중해 주는 것이 좋을듯 하며 알고 있는 아이에게는 솔직하게 이야기를 해주어도 좋다고 봅니다.
양육·훈육
2024년 7월 28일 작성 됨
Q.
아이가 정서적, 심리적으로 안정감있게 성장하려면 어떤점을 신경쓰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어느 부모든 아이를 좋은 환경과 좋은 교육을 하면서 키우기를 바라고 있다고 봅니다. 아이가 정서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가지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아이가 심리적으로 앉정감을 느낄수 있도록 가정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으며 부모의 모범적인 행동은 아이의 성장에 긍정적인 성장을 할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아이들에게 사랑과 관심을 주고 항상 소통하는 시간이나 함게 하는 시간들을 나누다 보면 아이들은 심리적으로나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가지며 성장할수 있다고 봅니다 .
양육·훈육
2024년 7월 28일 작성 됨
Q.
아이가 잘못했을 때, 훈육을 하면 바로 울어버려서 난감합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은 부모님께서 훈육을 한다고 하면 불안한 감정이 들거나 무서움을 느끼기 때문에 울어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이가 울음을 터뜨릴때 과도하게 반응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아이가 진정될때까지 기다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이가 진정이 되면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해주시면 좋을듯 하며 일관된 태도로서 훈육의 원칙을 설명해주고 아이가 이해할수 있도록 설명을 해주시면 좋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7월 28일 작성 됨
Q.
아이들에게 책을 어떤 방식으로 읽어주어야 재미있게 읽어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아이에게 책을 재미있게 읽어주기 위해서는 책속의 인물들의 감정을 목소리와 표정으로 표현해가며 읽어주는 것이 좋으며 다양한 캐릭터들의 목소리톤을 달리 해서 읽어주는 것도 좋습니다. 또한 일정한 톤보다는 목소리의 톤의 높낮이를 달리 해가면서 생동감 있게 읽어주면 아이들이 좋아합니다.
146
147
148
149
1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