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
김민선 전문가
본라인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학문
재활·물리치료
2024년 12월 8일 작성 됨
Q.
무릎 뒤가 땡겨서 다리가 잘 안펴지는데 어디로 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항상 몸을 단기간에 뭔가 한다는 생각으로 스트레칭이나 운동을 접하면 부상을 입을 확률이 높습니다. 현재 내용만 본다면 오금근이나 햄스트링 혹은 종아리 근육들이 많이 뭉쳐있는거같습니다. 근데 이 뭉쳐진걸 단순히 막무가내로 풀기 보다는 정확한 원인을 찾는게 중요할거같습니다. 현재 꼭 하체만 그런게 아니라 상체도 전반적으로 뻣뻣할거같습니다. 몸은 상 하체 다 연결되어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 하체 전체를 이완시켜주는 작업을 먼저 하시는게 중요할거같습니다. 그래서 가장 빠른 효과를 보고자 한다면 정형외과에서 약물치료와 동시에 도수치료를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약물에 소염진통제나 근육이완제.. 를 통해 근육을 이완시키고 그 상태에서 도수치료 같은 교정치료가 같이 들어간다면 더 효과적일거같습니다. 부디 잘 회복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12월 8일 작성 됨
Q.
스쿼트할 때 오르쪽 골반이 찝히는 느낌이 드는데 이건 왜 이러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스쿼트 할때 한쪽 골반이 집힌다는 느낌이 난다는 것은 해당 골반의 골반이나 고관절이 현재 틀어져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이렇게 틀어진 골반이나 고관절은 단순 혼자서 장요근이나 둔근을 푼다고 회복되지 않습니다. 수동적으로 골반이나 고관절을 맞춰주는 작업이 먼저 되고 그 다음에 셀프로 하셔야 합니다. 전문 도수치료사나 교정치료사에게 현재 내 골반이나 고관절 쪽 틀어짐에 대한 치료를 받으시고 그 다음에 운동하실때 항시 거울을 보면서 좌우 밸런스 있게 운동 하시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부디 잘 회복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12월 8일 작성 됨
Q.
하지정맥류를 예방할 수 있는 운동에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하지정맥류는 일반적으로 혈액순환 장애가 생길 시 말초쪽에서 생길 수 있는 질환입니다. 중력에 영향을 받는 저희 지구는 항상 심장과 멀고 밑에 있는 하체쪽에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다리나 발이 잘 붓고, 항상 답답하신 분들이 많습니다. 이에 따라 혈액순환 장애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하체쪽 운동이나 스트레칭이 필요합니다. 하체쪽 종아리 근육의 활성화를 위해서 계단 같은 곳에서 다리 뒷꿈치를 밑으로 쭉 내리는 하체 스트레칭 운동을 실시하는것이 도움이 많이 됩니다. 단 스트레칭 동작에서 엉덩이 힘을 항상 주셔야 합니다 그래야 제대로 스트레칭 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런지같은 운동이나 스쿼트 운동을 정석대로 하시면 하체 혈액순환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부디 잘 회복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형외과
2024년 12월 8일 작성 됨
Q.
무릅연골이찣어졌을경우 대치방법은??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무릎 연골이 찢어졌다면 기본적으로 그에 따른 수술이나 시술을 하는게 좋습니다. 하지만 수술까지 안해도 된다고 하면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혹은 도수치료 같은 보존적 치료를 하시는게 좋습니다. 무릎 연골이 어느정도 찢어졌는지 모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저희 몸 안에 있는 연부조직은 일정부분 스스로 회복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그런 능력들로 인해 일정시간이 지나면 몸이 회복됩니다. 그럼 이 무릎 연골도 마찬가지로 심한 정도가 아니라면 물리치료와 약물치료 받으시면서 무릎 안정성 키워주는 도수치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거같습니다. 부디 잘 회복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형외과
2024년 12월 8일 작성 됨
Q.
발목이 자주 삐끗해서 찌릿찌릿 아파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혹시 한쪽 발목만 아프진 않으신지요?? 현재 말씀만 들어보면 골반이나 고관절이 틀어져있어서 다리에 걸리는 하중이 서로 다를때 생기는 문제로 보입니다. 인간에게 있어 걸어다니는 행동은 발목에 무리를 많이 줍니다. 근데 이 무리 주는 행위가 편측으로 발생하게 된다면 한쪽 다리에만 하중이 더 크게 걸리면 그 쪽 다리는 피로도가 많이 쌓이고, 일정 수준 역치를 넘어가면 통증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보면 자꾸 삐는 쪽만 삐는게 고관절이나 골반이 틀어져서 다리길이가 달라짐에 따라 삐기 더 좋은 위치에 놓이기 때문입니다. 이럴땐 정형외과에서 시행하는 교정치료나 도수치료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부디 잘 회복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416
417
418
419
4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