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성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성현 전문가입니다.
김성현 전문가
한화솔루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2년 8월 4일 작성 됨
Q.
퇴사시 월급책정이 어떻게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성현노무사입니다.자세한 사실관계를 알 수 없어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5인 미만 사업장이므로 말씀하신 휴가의 성격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 사료됩니다. 유급휴가라면 휴가일수를 포함하여 급여 계산을 할 것이나,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휴가기간을 제외하고 급여 계산을 하게 될 것입니다. 근로계약서의 휴가 관련 조항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2022년 8월 4일 작성 됨
Q.
근로자의날 근무했는데 추가수당 줘야 되지않나요? 했더니
안녕하세요. 김성현노무사입니다.공휴일이든 근로자의 날이든 유급휴일에 출근하여 근로를 제공한 근로자에 대해서는 휴일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위 자료는 본래 임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는 무급 휴무일 등이 공휴일과 겹칠 경우, 해당일에 근로를 제공하지 않은 근로자에게 임금 100%를 지급할 필요가 없다는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8월 3일 작성 됨
Q.
연차계산시 통상시급 구하는 법.
안녕하세요. 김성현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시행령 제6조 제2항에 따라 "(월 통상임금 / 209) * 8"의 산식으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8월 3일 작성 됨
Q.
퇴사후 퇴직금은 언제 주나요?
안녕하세요. 김성현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제36조는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 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일 이내에 임금, 보상금, 그 밖의 모든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당사자 간 합의로 지급 기일을 연장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8월 3일 작성 됨
Q.
토요일,일요일 주휴수당을 주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성현노무사입니다.주휴수당 지급은 근로기준법 제55조 제1항이 강제하고 있는 사항입니다. 토요일을 유급으로 정한 이유는 시간급을 낮춰 수당지급에 대한 부담을 완화하고자 하는데 있을 것이라 사료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21
122
123
124
1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