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음악 전문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음악 전문가 입니다.
김수희 전문가
엘림실내악단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3월 22일 작성 됨
Q.
세종대왕이 만들어 주신 한글의 창제 배경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1.백성들이 계시판(무슨일을 글로 써서 붙쳐 놓은곳)에 글을 읽지 못해서..2.한문은 횟과 너무 어려워서...3.우리나라에 글자를 만들기 위해서....
역사
2023년 3월 22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노비에게서 난 자식의 주인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제가 알기론 부모 중 한명이 노비이면 무조건 노비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그리고 두 가문의 노비끼리 결혼을 해 낳은 자식은 몸담고 있는 가문의 노비가 될꺼같습니다.
음악
2023년 3월 22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무용가는 누구라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일본으로부터 신무용을 받아들인 최승희, 조택원 류의 신무용가라고 이야기 할수 있습니다.
역사
2023년 3월 22일 작성 됨
Q.
서부전선 이상 없다라는 영화가 있는데요. 어느 전쟁을 기반으로 한 영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당시 독일제국의 사회적 분위기가 전쟁에 지원하는 분위기 였고폴 바우머와 그의 급우들은 그런 분위기에 휩싸여 '자의반, 타의반'으로지원하였다 라고 간단히 언급하는 걸로 그칩니다.군인이 되어서 휴가를 나온 폴 바우머는 독일 사회에 퍼진 '군대가 좀 더 용기를 내어 공격을 한다면 승리할 수도 있다' 는 이야기에 현실과 동떨어진 불가능한 생각이라고 냉소를 보냅니다. 서부전선 이상없다는 레마르크가 자신이 참전한 1차세계대전을 묘사한 자전적 소설입니다.
역사
2023년 3월 22일 작성 됨
Q.
왜 우리나라를 아침의 나라라고 부르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타고르는 한국을 방문하지 않았습니다. 특히 문제가 되는 ‘동방의 등불’은 한 신문사의 한국 방문요청에 응하지 못하자 이에 대한 보상으로 그 신문사에 게재한 시입니다. 타고르는 인도 역시 식민지배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한반도가 일제의 식민지배를 받고 있다는 사실에 매우 동정적이었습니다.그래서 지금은 조용하게 힘을 기르고 있지만 언젠가는 찬란한 등불이 될 것이라는 믿음을 주기 위해 ‘조용하다’는 수식어를 붙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역사
2023년 3월 22일 작성 됨
Q.
고려시대 실시 한 의창은 어떤 제도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의창 제도는 평상시에 곡식을 비축하였다가 흉년에 빈민을 구제하는 제도입니다. 의창이란 것은 창고를 말하는 것입니다. 즉 매년 3∼7월에 가구수에 따라 관의 곡식을 대여하고 10월에 회수하였던 제도입니다. 그래서 춘궁기에 백성의 불편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도죠.이 의창은 고구려의 진대법에서 유래되었으며 조선시대까지 운영된 제도입니다.
역사
2023년 3월 22일 작성 됨
Q.
백년전쟁이 유럽의 판세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유럽의 역사를 바꾼 사건 중에 '백년전쟁'이 있습니다. 1337년부터 1453년까지116년 동안 영국과 프랑스가 단속적으로 벌인 전쟁인데. 각각 유럽 최대의 모직물과 포도주 산지인 프랑스 플랑드르와 기옌 지방에 대한 쟁탈전. 프랑스 왕위 계승권을 주장한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3세와 이에 맞선 프랑스의 필리페 6세의 다툼이 발단이었는데 .1429년 잔다르크가 '구국의 성녀'로 부상한 것도 이때. 유럽역사와 세계사를다시쓰게 한 전쟁입니다2013년 한반도에서 일어난 백년전쟁은진보와 보수 사이에 역사 재평가 재인식 전쟁 입니다 나라가 친일세력과 좌파주의적 성향이 정리되지 않은채해를거듭하게되자역사 재평사 또는 재인식 작업을 하게된것입니다
음악
2023년 3월 22일 작성 됨
Q.
헨델의 대표작은 무엇이며 그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할렐루야는 헨델의 오라토리오 "메시아" 중 제 2부의 끝곡으로써 전체에서 제44번째 곡입니다.가장 유명한 곡이기도 합니다. 이 메시아는 헨델의 대표작으로 음악사에서도 손꼽히는 명작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헨델은 이 곡의 작곡에 몰두하여, 스스로 감동에 젖어 눈물을 흘리며 곡을 완성했다고 합니다. 성서를 바탕으로 하여 불과 3주 만에 쓴 이 오라토리오는 1742년 더블린의 자선 연주회에서 초연하여 대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역사
2023년 3월 22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가장 오래 산 왕은 어느 왕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영조는 83세에 돌아가셔서 재위 52년 동안 조선왕조 역사상 가장 오래 산 왕이고 세자 사도세자와 세손 이산을 키웠다.영조 다음으로 오래 산 왕은 태조이성계(73세)였습니다.
역사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마라톤의 역사는 무엇이며 우리나라엔 언제부터 시작 했나요 ?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기원전 490년 그리스 마라톤 근처의 전쟁터에서 페르시아와의 전투에서 그리스의 승전보를 알리려 아테네까지 달려간 병사 페이디피데스를 기념하기 위한 것이 바로 마라톤 대회이다. 이 역사적인 달리기를 끝내고 페이디피데스는 쓰러져 죽었고 그가 달린 거리는 마라톤의 선례가 되었다.
31
32
33
34
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