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수입이나 수출을 많이 한다고 가정햇을때 세금은 얼마나 내나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우리나라는 수입물품에만 관세를 부과하고 있기 때문에 수출은 관세가 부과되지 않으며 부가세도 영세율을 적용해주는 혜택을 부여하고 있어, 수출 그 자체로 발생하는 세금은 없습니다. 다만, 수입의 경우 관세와 내국세(부가세가 메인이며 품목에 따라 주세, 교육세, 개별소비세, 교통에너지환경세 등이 있음)가 부과되며 이는 품목번호(HS CODE)마다 상이하므로 수입업체마다 다를 것으로 보여집니다.또한, 우리나라는 총 21개의 FTA가 발효되어 운영되고 있으므로 FTA가 체결된 국가로부터 수입하는 경우 FTA 원산지증명서를 수취하여 협정적용을 신청하여 관세를 절감 또는 면제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평균 기본관세율은 8%이며, 부가가치세율은 10%이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관세사 자격증
Q. 관세사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학과를 나오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아무래도 관세사와 연관된 학과가 무역학과 및 국제통상학부이며, 해당 학과에서는 관세사와 연관된 과목을 전공 필수나 전공 선택으로 있기 때문에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다만, 저의 경우 행정학과 출신인데도 불구하고 합격을 하였으며, 저는 복수전공까지는 쉽지 않아 부전공으로 무역학부를 선택하여 관세사 과목에 도움이 되는 부분들 위주로 수강을 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관세사 자격증
Q. 관세사 시험을 준비하려면 어떤 것을 준비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관세사 시험을 준비하는 입장에서 사람마다 성향이 다르기에 꼭 어떤 방식이 정답은 아니지만, 저의 경우 2차부터 먼저 준비를 시작하며 3월에 시작하다보니 현장강의가 없어서 부득이하게 인터넷 강의로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다만, 인터넷강의의 장점은 굳이 학원까지 이동하지 않아도 수강할수 있으며 반복이 가능한점이므로 학원과 거리가 있으면서 이러한 방식이 잘 맞는다면 인강도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1차/2차의 경우 이론서를 기반으로 1차는 문제풀이에 집중하였으며, 2차는 반드시 논술 모의고사를 빠지지 않고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이론서 외에 참고할만한 서적 및 품목분류 위원회 결과 등을 시간되시면 추가로 학습하는것도 심화학습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