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 세법개정안이 어떻게 나왔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출산및 양육 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자녀 세액공제가 확대됩니다. 특히 8세이상 20세 이하 자녀에 대한 공제 금액이 늘어납니다. 또한 기업이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출산 지원금에 대해서는 금액 제한 없이 전액 비과세 혜택이 주어집니다.자녀수에따라 신용카드 사용분에 대한 소득공제한도가 늘어납니다. 자녀가 1명일 경우 350만원, 2명 이상일 경우 400만원까지 한도가 확대됩니다.혼인신고를 한 해에만 한 번, 생애 1회에 한해 결혼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신설됩니다. 직원이 회사 제품을 할인받아 구매할 때 그 할인 금액에 대한 근로소득 비과세 기준이 마련됩니다.2025년 1월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었던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가 전면 폐지됩니다ISA계좌에 대한 세제 지원이 확대됩니다.연간 납입 한도가 2,000만원에서 4,000만원으로 상향조정되며, 비과세 한도도 일반형은 2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서민형은 최대 1,000만원까지 늘어납니다.당초 2025년부터 시행될 예정이었던 가상자산 소득에 대한 과세가 2027년으로 2년 유예됩니다. 연 250만원 초과 수익에 대해 22%의 세율로 과세한다는 기본 방침은 유지되지만 시행 시기가 늦춰집니다.법인세율이 문재인정부 시절 수준으로 다시 인상됩니다. 이는 기업의 세금부담을 늘려 세수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고향사랑기부금 중 10만원 초과 20만원 이하 구간에 대한 세액 공제율이 40%로 높아집니다.청년도약계좌 가입자에 대한 정부 기여금 지원이 확대되고, 신용점수 가산점 제도, 부분 인출 서비스 도입 등 혜택이 강화됩니다.이 개정안들은 국회 논의를 거쳐 확정될 예정이므로 일부 내용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Q. 이번 관세협상으로 인해서 미국내의 달러인덱스나 물가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이번 관세 협상으로인해 미국은 물가 상승이라는 부담을 안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수입품 가격상승은 물론이고, 국내 생산품 가격에도 영향을 미쳐 전반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질 수 있습니다. 동시에, 관세 정책으로 인한 무역수지 개선 기대감과 안전 자산 선호 심리, 그리고 잠재적인 금리 인상 가능성 때문에 달러 인덱스는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큽니다.이러한 물가 상승과 달러 강세는 상호작용하면서 복합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강달러는 수입물가를 일부 억제하는 효과를 낼 수도 있지만 관세로 인한 직접적인 가격 상승 효과가 더 클 수 있습니다.결국 이번 관세 협상은 미국 내 소비자들에게는 물가 상승의 부담을, 글로벌 시장에는 달러 강세로 인한 환율 변동성 확대라는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Q. 금일 코스피가 폭락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어제 FOMC 회의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인플레이션에 대한 지속적인 경계심을 드러내며 금리 인하에 대한 신중한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그는 현재의 통화 정책이 적절하다고 평가하며,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꺾는 발언을 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유동성 축소 우려로 이어져 한국 증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어제 한미 무역 협상 타결 소식에도 불구하고, 관세 정책 전반에 대한 시장의 불안감이 여전히 큰 상황입니다. 특히, 파월 의장이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이 단기적이지 않고 장기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언급한 점이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