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국의 6월 개인 소비지출 물가가 2.6프로나 상승했다고 하는데요 왜 이렇게 상승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6월 물가 상승의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인상 정책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특히 관세에 민감한 가구, 가전, 의류, 장난감 등의 상품 가격 상승이 두드러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관세가 부과되면 수입품의 가격이 올라가고, 이는 최종 소비자가격에 반영되어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합니다. 6월 상품 가격은 전월 대비 0.4% 상승하여 5월보다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이는 전반적인 상품 부문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PCE 물가지수는 에너지와 식료품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물가 지표입니다. 이들 품목의 변동성도 전체 물가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Q. 사피엔스의 저자 유발하라리는 농업혁명이 경제적으로 최대의 사기극이다라고 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수렵채집 시대에는 비교적 적은 노동으로 다양한 종류의 영양가 있는 식량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농업혁명 이후, 인류는 특정 작물에 의존하게 되면서 식단이 단조로워지고 영양 불균형이 심화되었습니다. 또한, 농사는 수렵채집보다 훨씬 더 많은 노동력과 시간을 요구했습니다. 인간은 하루 종일 밭에서 일해야 했고, 이는 삶의 질을 현저히 떨어뜨렸습니다. 농업은 단위 면적당 더 많은 식량 생산을 가능하게 했고, 이는 인구 폭발로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늘어난 인구를 부양하기 위해 더 많은 농사를 지어야 하는 악순환에 빠졌습니다. 잉여 식량이 생겨나더라도 이는 대부분 소수의 엘리트에게 집중되었고, 대다수의 농민의 오히려 더 열악한 환경에서 살아가야 했습니다. 즉, 생산량은 늘었지만 개인의 삶은 더욱 힘들어지는 구조였습니다.
Q. 우리나라에 코인거래는 몇살부터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는 미성년자의 코인(가상자산) 거래가 원칙적으로 불가능합니다.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는 모두 만 19세 미만 미성년자의 회원 가입 및 거래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는 정부의 정책에 따른 것이며, 가상자산 투기의 위험성과 미성년자 보호를 위한 조치입니다.부모님이 대신 자녀 명의로 코인 계좌를 만들어주는 것도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습니다.주식계좌는 미성년자라도 부모(법정대리인)의 동의와 서류(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면서 등)를 갖추면 증권사에서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식이 제도권 금융 상품으로 분류되어 법적 보호를 받기 때문입니다. 반명, 코인(가상자산)은 아직 제도적 틀이 완벽하게 갖춰지지 않아 투자자 보호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많고 높은 변동성으로 인한 위험이 크기때문에 미성년자의 투자를 원천적으로 막고 있는 것입니다.우리나라에서는 만 19세가 되어야만 본인 명의로 코인 거래소에 가입하고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