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배당주를 5년간 모으면 정말 수익이 날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수익이 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얼마나'의 수익이 날지는 알 수 없습니다. 배당 투자는 단순히 시세 차익만을 노리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들에게 현금으로 돌려주는 '배당금'을 꾸준히 받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여기에 장기적인 주가 상승이 더해진다면 금상첨화입니다. 매월 일정 금액을 투자하면, 주가가 낮을 때는 더 많은 주식을 사고, 주가가 높을 때는 더 적은 주식을 사게 되어 평균 매수 단가를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시자으이 변동성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꾸준히 모아가는 데 유리합니다. 정확한 수익률을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만, 안정적인 배당 성장주나 배당 ETF에 분산 투자한다면, 일반적인 예적금보다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Q. 적금 만기 후 재예치, 지금 금리가 괜찮은 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최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이를 살펴보면, 기준금리가 인하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2025년 5월 29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연 2.75%에서 0.25%포인트 내린 연 2.50%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작년 10월 이후 네 번째 금리 인하입니다. 한국은행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5%에서 0.8%로 대폭 하향 조정했습니다. 물가는 둔화되고 있으며, 2025년 1분기 경제가 수축하는 등 국내외 경제 상황이 좋지 않아 금리 인하의 압박이 커진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는 전반적인 금리가 하락하는 '금리 인하' 기조에 있습니다. 이는 은행의 예금 및 적금 금리에도 영향을 미쳐 시중 금리도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추세입니다.
Q. 충동적인 구매 습관은 어떻게 고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가장 먼저 할 일은 충동구매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스트레스가 원인이라면, 그 스트레스를 쇼핑 외에 다른 건강한 방법으로 해소할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언제, 어떤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쇼핑 욕구가 드는지 기록해 보시기 바랍니다. 구체적인 상황을 알면 대처하기 쉬워집니다. 충동구매는 보통 즉흥적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사이에 의식적으로 생각할 틈을 만들면 상당 부분 통제가 가능합니다. 무언가 사고 싶을 때 즉시 구매하지 않고 최소 24시간 동안 기다려 보시기 바랍니다. 이 시간 동안 정말 필요한지, 예산에 맞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겁니다. 대부분의 충동적인 욕구는 이 시간 안에 사라집니다. 온라인 쇼핑 시 마음에 드는 상품을 일단 장바구니에만 담아두고 바로 결제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며칠 뒤에 다시 보면 구매 욕구가 사라지거나, 이미 비슷한 물건이 집에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될 수도 있습니다.
Q. 직장인은 종자돈을 모으기 위해 월급의 몇 %, 즉 매월 금액으로 얼마씩 저축을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정답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기준은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꾸준함'과 '현실적인 목표 설정'입니다. 재테크 전문가들이 가장 많이 권장하는 비율은 월 소득의 50% 이상입니다. 특히 종잣돈을 빠르게 모으고 싶다면 이 비율을 목표로 삼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월급이 250만 원이라면 125만 원 이상, 300만 원이라면 150만 원 이상을 저축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것입니다. 이 비율은 사회 초년생이나 부양가족이 없는 경우 더욱 달성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사회 초년생이나 주거비, 학자금 대출 등 고정 지출이 많은 경우, 50% 저축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최소 30%부터 시작하여 점차 비율을 늘려나가는 것을 권장합니다. 30%를 시작으로 40%, 50% 점진적으로 늘려나가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