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김채원 전문가
연세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스캐폴드 단백질이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스캐폴드 단백질은 말그대로 뼈대단백질이라는 의미이자 기능을 갖고있습니다. 다른말로는 세포외기질로도 불리웁니다.동물세포는 식물세포와다르게 세포벽이 없고 외부막이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인지질 이중층으로 이루어져있기때문에 흐물흐물한 상태입니다. 이러한 세포들이 모인다해도 서로 유연한상태이기때문에 동물들이 움직이기에는 적합하지않아 적절한 단단함을 얻어내야합니다.여기서 스캐폴드단백질들은 세포와세포사이에 위치사여 서로를 단단히 잡아주고 세포가 이 스캐폴드를잡고 자라나갈 수 있는 뼈대역할을 해줍니다. 이러한 스캐폴드가 없다면 세포는 외부 압력에대한 시그널을 인지하지못하기때문에 입체적으로 자라지 못하고 오로지 중력에 의해서 바닥을 따라서 2d형태로 자랄 수밖에 없습니다.그래서 동물세포를 배양할때 플레이트위에서는 평면형태로 증식하는것입니다. 여기서 스캐폴드단백질이나 섬유체를 구성해주면 이것을 지지체삼아 자랄 수 있기때문에 위로자라날 수 있고, 최근에 이러한 기술들을 활용하여 배양육이라는 인공고기 연구가 탄생하기도 하였습니다.이처럼 스캐폴드, 세포외기질은 동물이 신체를 구성하고 움직이기위해서 중요한 아교역할을 해주는 중요한 물질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물학적으로 n차 소비자라는 건 정의하기 나름인 개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생물학적인 생산자와 소비자는 이를 관찰하는 학자에 따라서, 또는 구획을 하는 시스템에 따라서, 또는 관측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살아가는 환경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예를들어 식물이라는 개체는 기본적으로 광합성을하고 땅으로부터 양분과 수분을 끌어올려 에너지를 저장하여 보관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생산자의 역할을하고 이를 먹는 동물들은 소비자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이 식물들에게 양분을 제공하는 미생물들이나 지렁이처럼 유기물을 분해하여 작은 단위의 양분을 제공하는 생물들에게 포커스를 맞춘다면, 이 작은 생물들이 생산자, 식물이 소비자가 될 수 있습니다. 어찌되었든 식물들도 이 생산자들이 만든 양분들을 가지고 자신들의 생장에 사용하기 때문입니다.이처럼 어떤 개체는 생산자가될 수 있고 어떤개체는 소비자가 될 수 있으며 하나의 개체가 생산자이자 소비자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먹이사슬 사이에 누가 끼어들어갔느냐에 대해 정의를 함에따라서 그 소비자가 N차 소비자가 된다는 것입니다.결국 관찰하고자 하는 대상이 누구인지, 그 대상이 살아가는 환경에서 고려해야할 대상과 범위를 어디까지 한정할것인지에 따라서 생산자인지 소비자인지, N차 소비자인지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즉, 정의하는 방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 개념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들녁에 피어나서 손짓하는 듯한 이 풀을 아십니가?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흔히들 강아지의 꼬리와 비슷하다고 해서 강아지 풀이라고 불리는 식물입니다. 벼과의 강아지풀속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7~10월 정도에 되면 가지 끝에 이와같은 모습으로 이삭꽃을 여러개 달면서 모습을 나타냅니다. 길이는 약 2~6 mm 정도의 억센 털이 달려있고 지금 딱 잘 나오는 시기라서 관측이 쉽습니다. 그냥 길가나 들, 밭, 풀이 자랄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나 있기때문에 흔히 관측이 가능합니다.벼과에 속하기때문에 우리가 흔히 즐겨먹는 곡식과 친척관계라는것을 알 수 있는데, 조의 원종이라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다른 나라에서는 이러한 강아지풀을 차로 달여먹기도 하여 의학적인 효능을 얻어내기도 하는데,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작용을 전해듣고 달여마시기도 한다고 합니다. 효능으로는 안구 건조증으로 이냏서 시력이 떨어지는 작용에 대해 상당한 도움을 주기 때문에 다시 밝은 눈으로 회복 시켜 주는 역할을 하기도 하고, 약간의 해열작용을 해주는 성분이 들어 있기때문에 몸의 열독을 가라앉게도 한다고 합니다.정리하면, 한국에서는 강아지 풀로 불리우는 식물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퀴벌레가 도움이되는 점이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바퀴벌레는 다른 벌레들이나 동물들에비해 지구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습니다.바로 분해자의 역할입니다. 보통 미생물들이 지구 대부분의 유기물들을 분해하고 생산자들이 양분으로 다시 활용할 수 있도록 돕지만 바퀴벌레도 이 미생물들이 더 원활히 유기물을 분해할 수 있도록 작은 단위로 분해시켜주는 역할을합니다.이러한 능력에 특화된 다양한 특성들이 존재하는데 가장 잘 알려진것이 바로 생존력입니다. 바퀴벌레 몸안에는 100여가지가 넘는 독성물질을 분해할 수 있는 분해효소들이 존재하기때문에 썩은음식이나 독성을지닌 유기물까지 모조리 먹어치울 수 있습니다.또한 다른 곤충들과 다르게 더 많은 종류의 미각수용체가 존재하여 다양한 맛을 느끼고 먹을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고합니다. 게다가 먼거리에 있는 음식의 냄새를 판별하여 그곳으로 찾아가는 능력도가지고있습니다.이러한 능력들을 가지고 수많은 유기물들을 분해하고 다양한 동식물들이 흡수할 수 있는 양분의 형태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다만 도시와같은 지역에서는 비정상적으로 바퀴벌레들이 모여있거나 그 숫자가 너무많아혐오감을 조성하기때문에 문제가되기도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매미가 비가 올때는 울지 않고 비가 그치면 우는이유는 무엇인가요? 또 비올땐 어디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매미는 오랜기간 울지 못하기때문에 비바람이 부는 상황에서는 우는소리가 잘 들리지않아 에너지를 아껴야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비가오는동안에는 울지않고 힘을비축해두다가 비가그치면 다시 세차게 울기시작합니다.또한 비가오게되면 매미가 우는 원리인 날개의 떨림부분에 더 많은 에너지가 들기도합니다. 그리고 소리를 듣고 원하는대상을 찾는다고한들 그 대상을 찾아 날아가기도 쉽지않은 상황이기때문에 더더욱 비가오는 상황에서는 굳이 울지는 않습니다.즉, 자신의 유전정보를 후대에게 남기기위한 최대한의 효율적인 방법이고 오랜기간 살아남으면서 체득되어 dna에 각인된 본능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굳이 들리지않는데, 날아기기도힘든데 울다가 지쳐서 번식하지못한 개체들은 더이상 후대를 남기지못하고 그렇지않고 비가올때에는 우는것을 잠시 멈추었다가 비가오면 다시 울기시작하는 개체들만이 살아남았을 것이라는 추측이기도 합니다.
3613623633643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