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해바라기는 어떻게 해를 따라 꽃이 움직이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해바라기가 해를 따라 움직이는 현상은 식물의 흥미로운 생물적 반응 중 하나로, 이는 주로 '굴광성'이라고 불리는 메커니즘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해바라기는 특히 '양성 굴광성'을 보이는데, 이는 식물이 빛을 향해 자라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이 현상은 해바라기의 생장호르몬인 옥신의 분포에 의해 조절됩니다.해바라기의 줄기에는 빛에 민감한 옥신이 분포되어 있습니다. 해가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할 때, 해바라기의 줄기에서는 빛이 닿는 쪽과 그렇지 않은 쪽의 옥신 농도가 달라집니다. 빛을 직접 받는 쪽의 옥신 농도는 낮아지고, 반대쪽은 높아집니다. 옥신은 세포 신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옥신이 더 많이 분포된 그늘진 쪽의 세포가 더 많이 성장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해바라기의 줄기는 빛을 받는 방향으로 굽어지며 해를 따라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특히, 해바라기의 어린 꽃봉오리 단계에서 이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낮 동안 해를 따라 동쪽에서 서쪽으로 움직이며, 밤에는 다시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다음 날의 해를 맞이할 준비를 합니다. 이와 같은 동작은 '일주기성 운동'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물 내부의 생체 시계에 의해 조절됩니다. 생체 시계는 약 24시간 주기로 동작하며, 이를 통해 해바라기는 밤에도 방향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해바라기가 성숙하여 꽃이 완전히 피면, 더 이상 해를 따라 움직이지 않습니다. 성숙한 해바라기는 일반적으로 동쪽을 향해 고정되는데, 이는 꽃이 피어난 후에는 벌과 같은 꽃가루 매개자들이 동쪽에서 오는 아침 햇살을 받아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이렇게 해바라기는 생애 주기 동안 다양한 이유로 빛을 따라 움직이거나 특정 방향으로 고정되는 독특한 행동을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