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따뜻하고 똑똑한 노무사 옥동진입니다.
따뜻하고 똑똑한 노무사 옥동진입니다.
옥동진 전문가
노무법인 늘품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임금·급여
2022년 9월 20일 작성 됨
Q.
부당해고 월급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15일간 정상적으로 근로를 제공했다면 그 기간에 대해서는 급여 청구가 가능합니다.또한 상시근로자 수가 5인이상인 사업자라면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임금·급여
2022년 9월 19일 작성 됨
Q.
계약서상에 수습기간 몇%지급?
근로계약서에 수습기간 동안 감액지급한다는 규정이 없이 그냥 임금만 기재되어 있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경우 그 기재된 임금대로 지급해야 합니다.
산업재해
2022년 9월 19일 작성 됨
Q.
몸이 아픈 상황인데 상사의 강요로 일하다 병이 악화된경우 산재신청 가능한가요?
업무 수행 때문에 질병이 악화된 경우 산재 인정 될 수 있습니다.먼저 진단서를 받으시고 근로복지공단을 통해 산재 신청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휴일·휴가
2022년 9월 19일 작성 됨
Q.
회사에서 주말에 워크샵을 가는데요. 워크샵의 경우엔 근무수당에서 제외되나요?
워크샵을 불참하는 경우 인사상 불이익이 있고 사용자가 참석을 강제한다면, 사실상 근무에 해당한다고 판단될 수도 있습니다. 다만 근로자가 참석하지 않을 수 있다면 근로시간에 해당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임금·급여
2022년 9월 19일 작성 됨
Q.
연차초과사용시, 퇴사시 급여공제 가능여부 문의
급여 지급의 4대 원칙에 의하면 전액 지급을 하여야 하나, 그 금액이 크지 않고 근로자 또한 동의한다면(동의서를 받고) 공제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근로계약
2022년 9월 19일 작성 됨
Q.
거짓말을 하고 퇴사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근로자의 퇴사 사유가 법으로 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므로단순히 다른 곳 취업했다고 하고 퇴사 한다고 해서 법적으로 문제가 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임금·급여
2022년 9월 19일 작성 됨
Q.
한회사에서 1년을 일하고 퇴직금을
퇴직금은 퇴사 시점을 기준으로 발생합니다.임금채권의 소멸시효는 발생일로부터 3년이므로, 퇴사 후 3년이 초과했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소멸시효는 만료됩니다.
임금·급여
2022년 9월 6일 작성 됨
Q.
계약직에서 정규직 전환 대상이 되려면 얼마동안 근무해야하나요?
1. 기간제법상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로 간주되기 위해서는 2년을 초과하여 계속 근무해야 합니다. (기간제법 제4조 제2항)2. 단절기간이 짧아 계속근로로 볼 여지가 있습니다만, 보다 정확한 판단은 다른 사실관계를 확인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임금·급여
2022년 9월 6일 작성 됨
Q.
법정근로시간 이외의 추가 일한시간은 돈을 못받는건가요?
주 52시간(40시간+연장 12시간)을 초과하여 근로를 한 경우,근로기준법 제53조 위반에 해당합니다.다만 법 위반 여부와는 별도로, 실제 근로를 제공한 시간에 대해서는 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근로계약
2022년 8월 22일 작성 됨
Q.
재직중 이직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퇴사1달전 관련
안녕하세요.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근로자는 언제든 근로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다만 가급적 1개월 이전에 미리 퇴사 통보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41
142
143
144
1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