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따뜻하고 똑똑한 노무사 옥동진입니다.
따뜻하고 똑똑한 노무사 옥동진입니다.
옥동진 전문가
노무법인 늘품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휴일·휴가
2023년 5월 1일 작성 됨
Q.
근로자의날에 공무원은 왜 안쉬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옥동진 노무사입니다.문의하신 사항에 대하여 카드뉴스로 답변드립니다.참고하시기 바랍니다.(출처: https://blog.naver.com/cpla_dj/223090154731)
임금·급여
2023년 4월 30일 작성 됨
Q.
근로자의날에 근무 하면 수당이 어느정도 인가요?
근로자의 날은 법정 유급휴일이므로, 일반적인 월급제 근로자는 출근하지 않아도 임금 삭감없이 급여가 지급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근로자의 날에 근무를 하였다면,원래 지급되어야 하는 임금 (1.0) + 근로자의 날 근무에 대한 임금 (1.0) + 휴일근로 가산수당 (0.5) 을 지급해야 합니다.
임금·급여
2023년 4월 28일 작성 됨
Q.
퇴직금 받으면 퇴사처리가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옥동진 노무사입니다.퇴직금 지급과 4대 보험 상실신고가 같은 시점에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별개 사안입니다.보험 상실 처리가 되었는지는 회사 혹은 공단에 직접 문의해보시기 바랍니다.
휴일·휴가
2023년 4월 27일 작성 됨
Q.
주말 회사 야유회도 휴일근무에 포함되나요?
안녕하세요. 옥동진 노무사입니다.해당 야유회의 실질적 성격에 따라 판단이 달라집니다.야유회 참석 여부가 근로자 자율이며 인사상의 불이익이 없다면 근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야유회 참석이 기본적으로 의무사항이며, 불참시 인사상 불이익이 있다면 근무라고 볼 수도 있고 휴일근무에 해당할 여지도 있겠습니다.
휴일·휴가
2023년 4월 27일 작성 됨
Q.
연차가 남은상태인데 퇴사할경우 어떻게되나요?
안녕하세요. 옥동진 노무사입니다.이미 발생한 연차가 남은 상황에서 퇴사를 하는 경우, 다음 두 가지 방법 모두 가능합니다.1. 마지막 출근일 이후 남은 연차를 모두 사용한 것으로 처리해 퇴직일을 뒤로 미루는 방법2. 마지막 출근일 다음날을 퇴직일로하고 잔여 연차수당을 지급받는 방법두 방법 모두 금전적으로는 거의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186
187
188
189
1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