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조울증
Q. 나이가 들어가면서 성격이 협소하고 싑게 우울해 지기도 하는데 우울증 관련 약을 먹는 것은 어떨까요?
작성된 댓글은 참고만 하세요 (중요한 일은 대면 상담을 추천드립니다)원칙적으론, 나이가 들면서 , 쉽게 우울해지거나/성격이 변한다면 생활 습관의 교정이 더 중요할 듯 합니다만...일상 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라면, 시도해 볼 수는 있을 듯 합니다 -> 간혹, 소심한 성격인데, 우울증약을 복용하면서, 기분이 편해지는 경우가 있긴 합니다
Q. 혹시 빠른 수면유도를 위한 팁 있을까요?
작성된 댓글은 참고만 하세요 (중요한 일은 대면 상담을 추천드립니다) 글세요... 특별한 팁은 없을 듯 합니다만 (수면제 외에는)]그나마, 수면 2시간 전에 반신욕으로 체온을 올렸다가 떨어뜨리는 것 ,각성 예방을 위해 티비/스마트폰 등은 피하고, 긴장 이완을 위해, 따뜻한 물 , 가벼운 스트레칭, 심호흡, 음악(편한)/독서 정도 가 아닐가 싶네요
Q. 왜 피곤할 때는 우리는 자고 싶을까요??
작성된 댓글은 참고만 하세요 (중요한 일은 대면 상담을 추천드립니다)보통은 멜라토닌 / 아데노신 / 기타 피로 유발 물질 등이 축적되고각성 중추의 자극이 감소하면서 수면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불면증에서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낮동안의 활동(햇빛 노출)을 권장하고-> 잠이 많이 올 때는 커피(카페인)를 마셔 아데노신의 효과를 떨어뜨려 각성을 유도합니다단기간 수면 부족은 , 낮동안의 피로감 / 집중력 저하 / 졸림 / 짜증을 유발하고 장기간 수면 부족은 , 대사증후군 (비만, 혈압, 당뇨) 및 심혈관 질환, 면역 관련 질환, 암/치매 같은 질환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