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국이 금리인상을 하는이유는 무엇일까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비슷한 질문이 있어 해당 질문의 대한 답신으로 갈음합니다. 간단히 말씀 드리자면 현재 미국의 금리 인상은 8%가 넘는 물가상승율을 제어하기 위함입니다. ---------------------------------------------------------------------------------------------------------------------------기준 금리는 말 그대로 민간 금융 시장의 벤치마크입니다. 금리는 금융 시장과 실물 경제 및 대외 경제 여건 등에 따라 한국은행 산하 금융통화 위원회에서 조정을 합니다.근래 금리 인상은 주로 코로나19 판데믹 기간 동안 막대하게 제로 금리 하에 풀린 시중 유동성 흡수와 물가 상승을 제어하기 위함입니다.미국 또한 최근 3월 물가상승률이 8.5% 내외로 근래 40여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해서 2분기 중 0.5~1.0% 내외의 빅스텝급 금리 인상을 예고했고 양적 긴축까지 실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그럼, 금리를 올리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우선 주식이나 부동산 시장에 투입된 돈들이 안전한 예적금으로 몰려 돈의 흐름이 전보다 완만해 집니다. 경제학 용어로 승수효과(乘數效果,multiflier effect)라고 하는데 쉽게 설명 드리자면 거래 횟수가 줄어들어 각종 자산 가격을 하향 안정화 시키고 실물 경제를 냉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아시겠지만 주식이나 부동산 가격은 잦은 거래를 통한 호가 상승으로 가격이 올라가는 경우가 많습니다.또한 금리 인상은 민간 부문 투자를 위축시킵니다. 가령, 대부분의 기업들은 신규 투자 시 금융권 대출이나 회사채 또는 자본금 확장(=증자) 등을 통해 투자 재원을 조달하는데 금리가 올라가면 자금 조달 비용이 올라가고 원하는 만큼 자금을 조달하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주식이나 회사채 투자를 꺼리는 위험자산 회피 성향이 금리 인상기에는 강합니다.이상 간략히 참고 말씀 드립니다.
Q. 트위터가 경영권 방어를 위해 '포이즌 필'을 검토한다는 보도가 나왔는데, '포이즌 필'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포이즌 필(poison pill, 독약 처방)의 정의를 아래와 같습니다. 적대적 M&A에 대항하기 위한 기존 주주와 이사회의 방어 수단에 해당합니다. 기본적으로 차등 의결권에 대한 다양한 옵션을 허용하지 않는 국내는 아직 도입 전입니다.금번 일론 머스크에 대한 트위터 이사회의 포이즌 필은 플립오버 필에 해당합니다. 즉, 적대적 M&A 시도 측이 대상 회사 지분을 일정 비율 이상(금번 트위터의 경우 15%) 시가 보다 낮은 가격으로 신주를 발행해 인수할 수 있는 권한으로 2022년 4월 14일까지 유효합니다. 포이즌 필 가동과 적대적 인수합병 방어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아래 사항이 필요합니다. 1) 기존 주요 주주와 이사회의 포이즌 필 가동을 위한 충분한 재원 또는 우호 세력 확보 여부2) 기존 주요 주주와 이사회 이외의 3자 지분 보유자들의 지지 여부신주를 발행하는 것은 기존 주주들에게 시가 보다 매우 낮은 가격으로 인수할 수 있는 자격(콜 옵션, call option)을 부여하게 되는데 당연히 신주에 대한 인수 주체들의 자금 여력이 있어야 합니다. 문제는 적대적 인수 시도 측이 일론 머스크 같은 엄청난 자본력을 가진 이라면 포이즌 필의 성공 여부도 불확실합니다. 기존 시가 대비 훨씬 높은 인수가를 제시하면 굳이 기존 주요 주주 뿐 아니라 소액 주주도 신주 발행을 통한 기존 주식을 할인 인수를 하지 않아도 피인수를 통한 주가 상승을 노려 볼 만 하고 신주 발행 여력이 없는 상태에서 포이즌 필이 발동될 경우 본인 지분이 희석되어 손해를 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14&aid=0004821364---------------------------------------------------------------------------------------------------------------------------
Q. 금리인상으로 나스닥이 타격을 왜 입는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먼저, 금리 인상이 되면 어떤 효과가 있고 영향을 끼치는지 알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시장은 금리 인상에 따른 투자가들의 위험자산 회피 성향에 따라 다우존스공업지수 보다 더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美연준이 금리를 인상하는 이유는 인위적으로 시장에 푼 유동성을 흡수하여 유동성 증가를 통해 나타난 자산 가격 급상승을 제어하고 거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아울러 31년 내 가장 높은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는 미국의 경우 금리 인상은 시중 자금 회전을 막고 소비를 위축 시켜 인플레이션 억제 효과도 있습니다. 당연히 높은 기준 금리는 예적금 같은 안전 자산에 대한 수요를 높이고 주식이나 가상화폐 같은 위험 자산에 대한 수요를 감소시킵니다. 여기서 추가적으로 알아야 할 사항은 자산 시장을 주도하는 세력은 개인이 아니라 다양한 국내외 펀드입니다. 개인 관점에서 시장의 등락을 보면 곡해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가령, 대규모 글로벌 펀드는 목표 수익률을 셋팅한 후 자산의 위험(risk)에 따라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게 됩니다. 개인처럼 연10% 이상의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경우는 드물고 대게는 물가상승률, 기준 금리 비해 3~5% 내외의 초과 수익률을 추구합니다. 대표적인 수익률 벤치마크인 기준 금리가 인상되거나 인상 가능성이 확실할 경우 해당 포트폴리오만큼 안전사산으로 이동하여 목표 수익률을 맞춥니다. 이 과정에서 주식 시장 등 위험 자산 시장이 위축되곤 합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Q. 한국에서는 물가를 잡기위해 어떤정책을쓰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아래 비슷한 질문의 답변을 참고하시고 추가적으로 주요 공산품과 농수산물에 대한 물가 바스켓을 관리하여 가격 상승을 정부가 관리하는 경우도 있고 유가 세금을 깎아 주기도 합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준 금리는 말 그대로 민간 금융 시장의 벤치마크입니다. 금리는 금융 시장과 실물 경제 및 대외 경제 여건 등에 따라 한국은행 산하 금융통화 위원회에서 조정을 합니다.근래 금리 인상은 주로 코로나19 판데믹 기간 동안 막대하게 제로 금리 하에 풀린 시중 유동성 흡수와 물가 상승을 제어하기 위함입니다.미국 또한 최근 3월 물가상승률이 8.5% 내외로 근래 40여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해서 2분기 중 0.5~1.0% 내외의 빅스텝급 금리 인상을 예고했고 양적 긴축까지 실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그럼, 금리를 올리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우선 주식이나 부동산 시장에 투입된 돈들이 안전한 예적금으로 몰려 돈의 흐름이 전보다 완만해 집니다. 경제학 용어로 승수효과(乘數效果,multiflier effect)라고 하는데 쉽게 설명 드리자면 거래 횟수가 줄어들어 각종 자산 가격을 하향 안정화 시키고 실물 경제를 냉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아시겠지만 주식이나 부동산 가격은 잦은 거래를 통한 호가 상승으로 가격이 올라가는 경우가 많습니다.또한 금리 인상은 민간 부문 투자를 위축시킵니다. 가령, 대부분의 기업들은 신규 투자 시 금융권 대출이나 회사채 또는 자본금 확장(=증자) 등을 통해 투자 재원을 조달하는데 금리가 올라가면 자금 조달 비용이 올라가고 원하는 만큼 자금을 조달하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주식이나 회사채 투자를 꺼리는 위험자산 회피 성향이 금리 인상기에는 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