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재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재민 전문가입니다.

박재민 전문가
프리랜서
Q.  해외에 여행을 갔다가 주류를 반입하는 경우 얼마까지 그냥 가져가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해외 여행시 주류에 대해서는 면세 및 반입 제한 규정이 존재합니다.주류의 경우 술 2병(전체 용량이 2ℓ 이하이고 총 가격이 미화 400달러 이하)까지 면세 및 반입이 가능하며, 해당 개수 또는 가격이 초과되는 경우 반입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답변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박재민 관세사 드림
Q.  외국에서 상품을 수입해서 팔고 싶은데, 이런 절차를 도와줄 만한 곳이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처음 무역 거래를 진행할 때에는 많은 시장 조사와 리서치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고 자문을 지원하는 기관은 코트라가 있습니다. 코트라는 해외진출 지원 및 정보 조사 등 국내기업 해외투자 및 프로젝트 진출 지원, 해외시장 정보의 수집 및 전파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코트라에 문의 해보시면 수입시 국가별 유의사항과 팁 그리고 전반적인 시장조사와 함께 무역 전반의 자문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KOTRA 무역투자24답변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박재민 관세사 드림
Q.  아프리카에 인삼쥬스팔다 망한 사람을 봤는데 아프리카에는 뭘 팔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아프리카는 기후 및 국가 특성상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무역 및 수출입 체계와 상품 시장에 정확한 법률 규정이 없을 수도 있고 매우 다양한 변수가 있으니 더욱 신중해야 합니다. 아프리카 수출 시 괜찮은 상품 예시로는 의류, 농업제품, 식품성 기름, 티, 커피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코트라에 문의해보시면 지역별로 시장조사 및 주력 수출품 등 안내를 받아볼 수도 있으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답변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박재민 관세사 드림
Q.  해외 직구 후 통관이 완료되었다고 문자와서 조회해봤더니 세액 지불방법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우선 연락 받은 통관사나 세관에게 관부가세 납부가 어떻게 되었는 지 문의 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해당 세액을 통관업체에서 대납해주거나 물품 가격에 포함되어 결제한 경우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관부가세 납부는 연락 받은 안내서에 따라 신용카드 또는 공과금 납부 서비스 통하여 납부하시면 됩니다. 아니면 인터넷뱅킹 또는 지점 우체국 통하여 직접 납부하실 수도 있습니다. 답변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박재민 관세사 드림
Q.  전기밥솥용 내솥 원산지 표시방법?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기본적으로 수입물품에는 대외무역법령에 의거하여 원산지표시가 필수입니다. 물론, 상관행 또는 물품 특성상 원산지표시가 면제되는 경우도 있지만 전기밭솝 내솥의 경우 HS코드상 8516.90-0000의 전기밥솥 부분품으로 분류되며 원산지표시 대상입니다.다만, 아래의 경우 원산지표시 예외 적용은 가능하오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1. 수입물품의 크기가 작아 일반적인 방식으로 해당 물품의 원산지를 표시할 수 없을 경우에는 국명만을 표시할 수 있다.2. 최종구매자가 수입 물품의 원산지를 오인할 우려가 없도록 표시하는 전제하에 일반적인 원산지표시와 병기하여 물품별 제조공정상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다음 각호의 예시에 따라 보조표시를 할 수 있다.가. "Designed in 국명", "Fashioned in 국명", "Moded in 국명", "styled in 국명" , "Licensed by 국명", "Finished in 국명"....나. 기타 관세청장이 제1호에 준하여 타당하다고 인정한 보조표시 방식3. 수출국에서의 주요 부분품의 단순 결합 물품, 원재료의 단순 혼합 물품, 중고물품으로 원산지를 특정하기 어려운 물품은 다음과 같이 원산지를 표시할 수 있다.가. 단순 조립물품 : "Organized in 국명(부분품별 원산지 나열)"나. 단순 혼합물품 : "Mixed in 국명(원재료별 원산지 나열)"다. 중고물품 : "Imported from 국명"답변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박재민 관세사 드림
1411421431441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