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150불?이하면 별도로 세금을 안낸다고하는데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네 맞습니다. 해외 직구 시 면세 기준은 150불(미국에서 수입 시에는 200불)입니다.이는 물품가격 및 국내까지의 배송비를 포함한 금액으로 총 245,000원을 결제했다고 하시면, 현재 환율이 1280원을 대입하여도 면세 한도는 약 20만원까지이기에 245,000원과 150불(약 200,000원)의 차액에 대해서는 관세를 납부하셔야 합니다.관세 납부 기준은 일반적으로 면세 한도(150불)이 초과된 금액(약 45,00원) 기준으로 물품 별 관세율에 따라 부과되게 됩니다.어떠한 물품을 수입하는 지는 알 수 없으나 일반적으로 8%가 부과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만약 해당 수출자가 FTA 원산지증명서 발급이 가능하다면 0% 관세 적용도 가능하오니 이 점 사전에 문의해보시기 바랍니다.발생하는 관부가세는 향후 수입신고 시 포워더나 운송사 통해서 고지 받으실 수 있으며 해당 금액을 납부하시면 되겠습니다.만약 사전에 발생할 관세를 예측하고 싶으면 아래 관세청 사이트내에서 손 쉽게 조회도 가능한 점 참고 부탁 드립니다.해외직구물품 예상세액 조회 (customs.go.kr)답변 내용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추가 문의 사항은 언제든 댓글 부탁 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GATT와 WTO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우선 GATT와 WTO은 동일한 무역 기구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결론적으로 말씀 드리면 GATT 체제의 소멸과 함께 WTO 체제가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 동일한 체제이기에 영향력 파급력, 위상 등도 비교 대상이 아니며 더 나은 체제로의 발전을 위하여 WTO가 GATT를 대체하여 창립된 것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1. GATT(관세 무역 일반 협정)(1944년)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는 세계무역기구 체제 이전의 체제입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반인 1944년 뉴햄프셔 주의 브레튼 우즈에서 있었던 브레튼 우즈 회의의 결과 창설되었으며 새로운 국제질서와 미국중심 경제정책과 달러화의 기축 통화 결정과 최혜국대우 조건 등 제도적 장치를 해준 협정입니다. 이 제도가 시간이 흘러가 각국 간 이익 상충과 경제 발전이 가속화되자 새로운 무역 질서를 만든 것이 세계 무역기구입니다.2. WTO (세계무역기구)(1995년)World Trade Organization의 약어로 회원국들간의 무역 관계를 정의하는 많은 수의 협정을 관리 감독하기 위한 기구입니다. 세계무역기구는 1947년 시작된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GATT) 체제를 대체하기 위해 등장했으며, 세계 무역 장벽을 감소 시키거나 없애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기구 창설로 GATT체제는 사라집니다 3. GATT와 WTO 관계1994년, GATT는 "GATT 1994"를 통해 회원국들의 새 의무를 추가하였습니다. 이중 가장 중요한 것이 세계 무역 기구(WTO)의 창립이었습니다. 가트의 75개 회원국과 유럽 공동체 회원국은 1995년 1월 1일, WTO의 창립 회원국이 되었으며, 기존 가트 회원국이었던 나머지 52개 국가들은 1997년 콩고를 마지막으로 모두 WTO에 가입하였습니다.기존 가트 회원국 중에선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만이 WTO에 가입하지 않았는데, 이는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을 계승한 국가로 인정받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세계 무역 기구의 창립으로 1994년 12월 31일, "GATT 1947" 체제는 종식되었습니다.답변 내용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추가 문의 사항은 언제든 댓글 부탁 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일본에서 한국 입국시 휴대물품 관세 질문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네 맞습니다. 여행자 휴대품은 800불까지 면세 대상으로 800불이 초과된 금액에 대해서만 과세하여 500불에 해당하는 금액에 대하여 의류의 경우 관/부가세 합산세율인 약 25% 정도의 세금이 부과되게 됩니다. (만약 모피 의류 제품이 있을 경우 세율 계산이 조금 상이합니다.)또한 자진신고 시 15만원 한도로 관세의 30%가 감면되며 총 예상 세액은 다음과 같습니다.발생 관부가세 : 500불*0.25 = 125불, 금일 자 환율 기준 한화 약 160,500원자진신고 감면액 : 160,500*0.3 = 48,150원총 납부 세액 : 160,500-48,150= 112,350원여행자 휴대품에 대한 예상 세액 조회를 관세청에서 시스템상으로 운영하고 있으니 아래 사이트 내에서도 참고 하시면 되겠습니다.관세청 (customs.go.kr)답변 내용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추가 문의 사항은 언제든 댓글 부탁 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도자기는 수하물로 옮길때 어떻게 옮기죠?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파손 되기 쉬운 도자제의 제품은 대한항공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항공사 규정상 위탁 수하물 반입이 금지되고 있습니다. 다만, 일부 항공사의 경우에는 금지까지는 아니고 위탁 수하물 반입 금지 권고만 하는 경우도 있으나 물품 특성 상 깨질 위험이 있기에 위탁 수하물로의 반입 보다는 기내에 직접 반입하여 탑승하시는 것을 권고 드립니다.따라서, 도자기의 경우 기내 반입이 금지되는 경우는 없기에 우선 이용하시는 항공사 위탁수하물 및 기내반입 규정을 먼저 확인 하시고 위탁 수하물로 반입이 금지되지 않았더라도 웬만하면 기내에 반입하여 기내 선반 수납장에 보관하여 항공기를 이용하시는 것을 권고 드립니다.그리고 고가의 제품이라 하더라도 반드시 기내 반입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만, 고가의 제품은 대부분의 항공사에서 위탁 수하물이 아닌 기내 반입 보관하는 것을 권고 하고 있습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추가 문의 사항은 언제든 댓글 부탁 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우리나라에서 무역규정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무역 규정이라는 것이 너무 포괄적인 문의라서 정확히 답변 드리기는 어렵습니다만,무역 규정은 크게 자유무역 성격 그리고 보호무역 성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자유무역 주의 성격을 띠는 무역 규정은 대표적으로 FTA가 있습니다. FTA는 Free Trade Agreement로 자유 무역 협정을 말합니다. 협정을 체결한 국가끼리의 거래 시에 관세나 무역 장벽을 철폐해 더욱 자유롭고 활발한 무역을 가능케 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협정을 체결한 국가를 위해 특별히 관세를 낮추고 혜택을 주는 것이 주 목적입니다.이와 반면 국내산업 보호를 위한 각국의 보호무역 주의가 더욱 강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보호무역 주의 기조는 세계 경기 회복 둔화, 미국 대통령 선거 등 일시적인 요인과 중국의 중성장 기조 및 이에 따른 일부 산업의 공급 과잉 심화 등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중국 경제가 중성장 기조로 전환되 면서 철강 등 과거 호황기에 투자를 확대했던 산업들의 공급 과잉이 발생하고 이러 한 산업의 밀어 내기 식 수출이 지속되면서 국가 별로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수입 규제 가 확산되고 있는 것입니다.특히 보호무역 주의과 관련된 무역 규정은 미국 트럼프 정부 시절 철강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 조치가 있겠습니다. 한국은 여전히 수입 규제를 활용하기보다는 규제의 대상이 되는 국가로서 보호무역 주의의 확산은 우리나라 수출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한국은 여전히 전 세계 수입 규제 대상 국 중 중국 다음으로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력 산업인 철강, 화학 등이 주요 수입 규제 타겟이 되고 있어 각국의 수입 규제가 강화될 경우 우리 수출 회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더구나 최근 중국을 겨냥한 수입 규제가 증가하는 한편, 우리나라는 중국과 수출 주력 품목 중복 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보호무역 조치에 대해 더욱 취약해지고 있는 실정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답변 내용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추가 문의 사항은 언제든 댓글 부탁 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자유무역협정에서 FTA MOU 이런 단어들 뜻이궁금해여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FTA란 free trade agreement의 약어로 특정 국가 간의 상호 무역증진을 위해 물자나 서비스 이동을 자유화 시키는 협정으로, 나라와 나라 사이의 관세 및 비관세 무역장벽을 완화하거나 철폐하여 무역자유화를 실현하기 위한 양국간 또는 지역 사이에 체결하는 특혜무역협정을 의미합니다. MOU란 Memorandum of Understanding의 줄임 말로 양해각서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MOU는 어떠한 거래를 시작하기 전에 쌍방 당사자의 기본적인 이해를 담기 위해 진행되는 것으로 체결되는 내용에 구속력을 갖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내용상 제한은 없으며, 쌍방 당사자의 원칙적인 합의가 표시되는 것이 보통이며 법률적 구속력이 있는 계약서와는 다르게 사전 업무 협약이라는 특성을 지닙니다.FTA MOU란 이렇게 국가와 국가간 자유무역협정을 체결 하기 앞서 양 국간의 이해관계를 좁히고 어느 정도 협정 체결의 의사를 양방이 갖고 진행하는 약해 각서 체결 단계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MOU를 체결하였다는 것은 FTA 협정을 체결한 의사를 표방한 것이기에 이 후 구체적으로 협상되는 내용에 따라 협정이 체결될 확률이 높은 상태인 것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FTA가 활성화되고 많은 국가와 이러한 협정을 체결한다면, 상품 수출 시에 해외 시장에서 입지를 다질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한국의 상품을 다른 국가에 수출해 판매하게 되면 관세가 붙어 판매 가격이 높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비슷한 사양의 현지 제품과는 가격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시장에서 살아남는 것이 어렵습니다. 하지만 협정을 체결했다면 관세 혜택으로 상품 가격을 낮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지 상품과 동등한 레벨로 판매할 수 있고 한 국가의 시장에 진입한 다른 경쟁 국가 상품보다 큰 가격적 이점을 갖게 됩니다. 해외에 있는 상품을 수입해올 때도 마찬가지로 저렴하게 해외 상품을 들여올 수 있게 되면서 소비자는 더 다양한 상품군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만나볼 수 있게 됩니다. 이렇듯 FTA 체결은 양 국가의 상품에 대한 관세 장벽을 허무는 협력이기에 우리나라 경제에 많은 도움와 발전이 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다만, 무분별한 협정 체결은 국내 민감 산업 보호에 타격을 줄 수도 있고 값 싼 노동력이 체화된 해외산 물품의 수입으로 인하여 국내 산업 생태계가 흐트러질 우려도 있는 것이 단점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답변 내용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추가 문의 사항은 언제든 댓글 부탁 드립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