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재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재민 전문가입니다.

박재민 전문가
프리랜서
Q.  위스키 수입량의 연도별 추세는 어떻게 되고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21-22년 위스키 수출입 금액입니다.아래는 22년부터 23년까지 위스키 수출입 금액입니다.이와 같이 보시면 알겠지만 위스키 종류별로 연마다 수입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소비가 증가하여 수입이 증가되었다고도 볼 수 있으며 품귀현상은 수입 증가량 대비 소비가 더욱 더 증가하여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박재민 관세사 드림
Q.  외국 호텔에서 먹은 과일은 어떻게 해야 가져올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일반적으로 해외에서 생과일 등은 반입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반입이 가능하더라도 관련 법령에 의거하여 식품/식물 검역 등을 받아야하는데 개인이 해당 검역을 진행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따라서, 해외에서 생과일류 등은 다 먹거나 버리고 오는 것이 가장 좋으며 만약 그대로 반입할 시 세관 검사대에서 압수처리될 수 있는 점 참고 부탁 드립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박재민 관세사 드림
Q.  수입관세율을 알아보려면 어찌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우선 새끼 뱀장어의 HS코드는 0103.92-2000호로 기본관세는 5% 적용됩니다. 다만 허가(해면어업) 또는 신고(내수면어업)가 수리된 양식어업인으로서 추천기관의 추천을 받아 수입신고수리전 까지 추천서 또는 해당 전자문서를 세관장에게 제출한다면 할당관세 3% 적용이 50톤까지 가능합니다. 추천기관은 한국수산무역협회입니다.다만, 물품의 상세정보에 따라 HS코드는 달라질 수 있으며 한정된 정보로 가장 근접한 HS코드를 알려드린 것입니다.또한 활어의 경우 아래와 같이 관련법에 의거하여 수입 시 검역을 받고 통과되어야 수입이 가능합니다.수산생물질병관리법 · 살아 있는 것으로서 이식용, 식용, 관상용, 시험·연구조사용으로 수입하는 것은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장에게 검역을 신청하고 수산생물검역관의 검역을 받아야 한다.(수산생물질병 관리법 제24조에 따른 수입금지지역에서 생산 또는 발송되었거나 그 지역을 경유한 지정검역물은 수입할 수 없음)일반인이 HS코드를 확인해보시려면 아래의 관세법령정보포털 사이트내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관세율표-부류목록 | HS정보 | 세계HS | 관세법령정보포털 CLIP (customs.go.kr)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박재민 관세사 드림
Q.  해외에 판로를 구했을 경우 한국에서 해외로 보내기 위해 필요한 허가 등은 어떤 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국내에서 해외롤 물품을 수출할 시에는 관세 등 세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의 관세 정책은 수입세만 거두고 있으며 수출세는 수출 장려에 도움을 주지 못하기에 부과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수출 시 국내에서 발생하는 세금은 없으며 상대국에서 수입 시 세금이 발생하게 됩니다.다만, 이는 국가별로 상이하기에 해외 판로에 막걸리와 소주를 수입할 시 얼마나 관세 등이 발생할 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수입자가 부담하게 되며 소주와 막걸리류는 어떤 국가든 관세를 기본으로 소비세 등 고율의 관세가 부과될 수 있기에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또한 우리나라에서 주류를 수출 시에는 아래와 같은 수출 면허가 사전에 필요하기 참고 부탁 드립니다.주세법 5. 사업장 관할세무서장으로부터 다음의 면허를 받아 수출할 수 있음① 직접 제조한 주류를 수출하고자 할 경우 : 당해 품목의 주류 제조면허② 타인이 제조한 주류를 구입하여 수출하고자 할 경우 : 주류수출입업면허(가)③ 주류수출의 중개를 하고자 할 경우 : 주류중개업면허(가)마지막으로 기본적인 수출절차는 아래 관세청 사이트를 참조해주시고 처음 진행하신다면 무조건 관세사를 대행하여 진행하셔야 법적인 리크스를 회피할 수 있습니다. 적당한 관세사를 물색하시어 계약 후 진행 해주시기 바랍니다.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박재민 관세사 드림
Q.  직구로 아이패드 등 전자제품 관세율은 몇프로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관세율은 물품마다 정해진 HS코드 별로 부과되게 됩니다.아이패드의 HS코드는 8471.30-0000호로 관세율은 0%이고 부가세만 10% 부과됩니다.따라서, 90만원에 아이패드를 구매했다면 부가세 10%만 부과되어 9만원에 세금만 납부하시면 됩니다.또한 전자제품은 개인이 자가사용 목적으로 1대까지만 수입 요건 구비 없이 통관이 가능하기에 참고 부탁 드립니다.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박재민 관세사 드림
2262272282292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