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진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진혁 전문가입니다.
박진혁 전문가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격증
부동산
2022년 3월 19일 작성 됨
Q.
임차인 퇴거시 원상복구의무에 관한 사항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부동산코칭 박샘" 박진혁 공인중개사입니다.임대인은 임차인이 주택을 사용하는데 불편하지 않도록 해줘야할 책임이 있습니다.임차인에게 책임을 묻기전에 먼저 확인해보세요. 사용하는데 불편하다면 집주인이 수리를 해놓아야 합니다. 미리 임차인에게 계약시에 주의사항을 이야기 했는데도 임차인의 부주의로 훼손이 되었다면 임차인에게 책임을 물을수 있습니다. 그러면 들어올 임차인이 없을 것입니다. 임대인께서 세를 놓으려면 수리를 해놓으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부동산
2022년 3월 18일 작성 됨
Q.
오피스텔과 주택을 보유중인데 2주택자로 되나요?
안녕하세요. "부동산코칭 박샘" 박진혁 공인중개사입니다.오피스텔은 주거용으로 사용하면 주택으로 봅니다.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을 하고 자동말소되는 경우에는 주거용으로 사용하기에 당연히 주택입니다. 다른 주택을 매도할때 불이익을 받게 됩니다.
부동산
2022년 3월 17일 작성 됨
Q.
묵시적 갱신인줄 알았는데 매매 얘기가 나오는 경우...
안녕하세요. "부동산코칭 박샘" 박진혁 공인중개사입니다.임대인이 2년 연장해주겠다고 했으면 재계약이 된것입니다. 공인중개사사무소에서 매매로 집을 보겠다고 하면 재계약이 되어 2년을 거주한다고 하면 됩니다. 묵시적갱신은 아닙니다.
부동산
2022년 3월 13일 작성 됨
Q.
전세금을 얼마까지 올릴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부동산코칭 박샘" 박진혁 공인중개사입니다.보증금 올리지 않고 오랜기간을 살았어도 지금 임타인이 계약갱신요구권을 사용하면 임대인은 보증금을 5%이내에서만 올릴수 있습니다. 5%이상 올리면 계약갱신요구권 사용을 하지 않은 것으로 봅니다.
부동산
2022년 3월 12일 작성 됨
Q.
전월세 신고제 전입신고 필수?
안녕하세요. "부동산코칭 박샘" 박진혁 공인중개사입니다.잘못 알고 있네요.전월세신고와 전입신고는 별개 입니다. 전월세 신고를 하면 주민등록이 자동으로 전입신고되는 것이 아닙니다. 걱정 안해도 됩니다.임대인이 임차인의 서명 받아서 신고하면 됩니다.
91
92
93
94
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