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창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전문가입니다.

박창민 전문가
경북대학교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강아지가 자꾸 이상한 소리를 냅니다ㅠㅠ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강아지가 거위소리처럼 ‘켁켁’ 거리는 건 역재채기일 가능성이 높지만, 과자를 먹은 후 증상이 심해졌다면 기도 자극이나 이물질 때문일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입을 벌리고 숨을 못 쉬거나 혀가 파래지거나 구토 및 식욕 저하가 있으면 바로 병원에 가야 하며, 증상이 계속 반복되면 검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3개월된 말티푸 아가 강아지가 자꾸 토를해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3개월 말티푸가 흰색 토를 한 뒤 감기 진단을 받고 치료했지만 이후 갈색 토를 반복하고 그것을 먹는다면, 갈색 토는 소화된 혈액일 가능성도 있어 단순 감기 외에 위염, 장염, 이물 문제 등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24시 병원에서 추가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유전자 조작으로 인간보다 두뇌가 뛰어난 동물을 개조하는게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유전자 조작으로 동물의 지능을 일부 향상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인간보다 더 뛰어난 두뇌를 가진 동물을 만드는 것은 지능이 수천 개의 유전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뇌의 구조와 환경까지 영향을 받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또한, 설령 기술이 발전해도 윤리적 문제와 생물학적 한계로 인해 실현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개 중에서는 왜 낯선 사람을 그토록 경계하면서 공격성을 드러내기도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개가 낯선 사람을 보면 심하게 짖거나 공격성을 보이는 이유는 영역을 지키려는 본능과 어릴 때 사회화가 부족했거나 부정적 경험이 있어서 경계심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주 사람을 본다고 해도 낯선 존재를 위험으로 인식하는 습성은 쉽게 사라지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뿔논병아리는 왜 여름에 얕은 늪지대에서 지내다가 겨울에 털갈이를 한 채 깊은 강이나 바다로 이동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뿔논병아리는 여름에는 짝짓기와 번식을 위해 포식자가 적고 둥지를 틀기 쉬운 얕은 늪지대에서 화려한 여름깃으로 지내고, 겨울에는 늪지가 얼고 먹이가 부족해지기 때문에 얼굴에 하얀 깃털로 털갈이를 한 뒤 먹이가 풍부한 깊은 강이나 바다로 이동해 생존하는 계절적 적응 행동을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유기견 같은 경우에 주로 잘 걸리는 병에는 어떤 병이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유기견은 방치된 생활환경과 예방접종 미실시로 인해 심장사상충, 피부병, 장염, 구충 미실시로 인한 기생충 감염, 치아 질환, 기관지염, 켄넬코프, 파보바이러스, 디스템퍼 등 여러 질병에 취약해 입양 전 건강검진이 꼭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유기견중에 심장 사상충에 감염이되면 죽을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몇프로 정도 완치가 되는가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유기견의 심장사상충 감염은 조기 발견 시 약 90% 이상 완치가 가능하지만, 방치되다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평균적으로는 약 50~70% 정도의 치료 성공률을 보이며, 중증 감염일수록 합병증으로 인해 치료가 어렵고 예후가 나빠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드워프 햄스터, 임신인지 그냥 비만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드워프 햄스터의 현재 상태는 49.7g으로 평균보다 무거워 비만일 가능성이 높지만, 최근 수컷과 접촉했다면 임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행동이 조심스럽고 쳇바퀴를 타지 않으며 은신처에만 머무는 점은 임신과 비만 모두에서 나타날 수 있어, 며칠간 관찰하며 출산 여부를 지켜보거나 필요시 동물병원에서 초음파 검사를 받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탈모에대한 치료에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현재 탈모 치료는 약물과 모발이식이 주로 사용되지만, 미래에는 줄기세포, 모낭 복제, 유전자 치료 등을 통해 대머리도 비교적 쉽게 회복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미 모낭 배양 및 재생 연구가 진행 중이며, 10~20년 내에 획기적인 치료법이 나올 가능성이 있지만 상용화까지는 안전성과 비용 문제가 남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람 몸에 털이 있는 이유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사람 몸의 털은 원래 체온 조절, 피부 보호, 외부 자극 감지 등의 역할을 하지만, 현대에는 의복과 생활환경의 변화로 기능이 줄어들었고, 그럼에도 일부 털은 햇빛 차단이나 땀 방지 등 여전히 보호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