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형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전문가입니다.
김형준 전문가
청라 노동법률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19일 전 작성 됨
Q.
지각2회시 연차차감을 할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라 연차는 근로자가 자유롭게 사용해야하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삭감할 수 없습니다. 지각을 했다하더라도 해당 지각 시간만큼 임금을 공제할뿐, 연차를 차감하는 것은 위법합니다.
19일 전 작성 됨
Q.
반차 시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9~18시 근무라면 오전 반차는 9~14시, 오후 반차는 14~18시가 일반적인 반차 적용 시간입니다.
19일 전 작성 됨
Q.
퇴직서 쓰면 연차가 사라지나요? 아직 날짜가 남은건데 벌써 소멸시키고 수당으로 넘기는게 합법이에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라 부여된 연차는 퇴사와 관계없이 근로자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퇴사한다고 연차를 없애는 것은 위법합니다.
19일 전 작성 됨
Q.
육아휴직에 대해서 회사에 인수인계나 대체자에 대해서 시간 3개월 줬는데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육아 휴직은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19조에 근거하여,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 또는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휴직을 신청하는 경우 사업주는 이를 허용해야 합니다. 질문자님 상황처럼 사업주 또는 그에 준하는 자가 계속 거부하는 경우 노동청에 진정할 수 있습니다.정당한 이유 없이 거부한 것이 확인되면 5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19일 전 작성 됨
Q.
근로계약시 수습기간 3개월이 지나면 자동으로 정규직으로 전환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수습기간이라 하더라도 근로계약 체결 후의 관계이므로 당초 근로계약서에 수습기간을 3개월이라 명시하였고 사용자가 별다른 의사표시를 하지않았다면 3개월 도과 시점에서는 정규직 전환된 것으로 보는 게 일반적입니다.법적 근거라 함은 특별한 근거는 없고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내용에 따른 효력이며 미이행 시 근로기준법 제19조에 따라 이행을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습니다.제19조(근로조건의 위반) ① 제17조에 따라 명시된 근로조건이 사실과 다를 경우에 근로자는 근로조건 위반을 이유로 손해의 배상을 청구할 수 있으며 즉시 근로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② 제1항에 따라 근로자가 손해배상을 청구할 경우에는 노동위원회에 신청할 수 있으며, 근로계약이 해제되었을 경우에는 사용자는 취업을 목적으로 거주를 변경하는 근로자에게 귀향 여비를 지급하여야 한다.
121
122
123
124
1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