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형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전문가입니다.
김형준 전문가
청라 노동법률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임금·급여
3개월 전 작성 됨
Q.
급여지급에 관해서 이게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하루 12시간 근무를 하였다면은 최저임금 1만30원으로 계산해도 하루에 12만원 가량이 지급되어야 되는데 한 달 이내 그만둔다고 하여 최저임금 미만이 5만원인 지급하는 것은 최저임금법 위반으로 노동청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또한 최저임금에 미달되는 임금을 지급하였으므로 그 차액에 대해 임금체불로도 신고하여 받을 수 있습니다
임금체불
3개월 전 작성 됨
Q.
법적으로 임금체불로 신고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무슨 말도 안 되는 소리인지 참 답답합니다.1. 근로계약서 미적성은 근로기준법 제17조 위반으로 노동청에 신고하면은 사용자에게 5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되니 꼭 신고하시길 바랍니다2. 사용자는 근로자의 근태 관리를 할 의무가 있고 그에 따라 임금을 지급할 의무도 있습니다. 또한 근로기준법 제 48 조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임금을 지급할 때 임금명세서를 교부해야 되며 미교부 시 과태료가 부과됩니다3. 근로자가 퇴사하면은 근로기준법 제 36 조에 따라 퇴사 후 14일 이내에 임금 등 일체의 금품이 지급되어야 되며 미지급되는 경우 노동청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근로계약
3개월 전 작성 됨
Q.
알바 일주일 근무, 하는 일 과중으로 인한 퇴사/근로계약서 미작성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1. 근로계약서 미작성은 근로기준법 제 17조 미만으로 부동청의 신고 시 사용자에게 벌 5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2. 휴게시간은 근로기준법 제 54조에 따라 8시간 근로시 1시간 이상의 휴게시간이 부여되어야 하며 미부여시 역시 노동청 진정하여 벌금이 부과됩니다. 휴게시간은 실제로 부여되어 근로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이어야 인정될 수 있습니다3. 근로자는 언제든지 자유롭게 퇴사할 수 있으므로 당일 퇴사를 하더라도 문제되지 않습니다
휴일·휴가
3개월 전 작성 됨
Q.
1월 1일부터 계약했다면 피보험기간 180일은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일반적으로 주 5일에 일 8시간 근무하는 근로자의 경우 7개월에서 8개월 정도 근무해야 180일 요건을 채울 수 있습니다.
산업재해
3개월 전 작성 됨
Q.
고등학교 실습생이 사고가 나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돼지농가에 화재가 원인이되어 사망하였으므로 특별히 원인제공한 3자가없다면 돼지농가가 책임이 있으며 농가에서 가입한 보험으로 배상이 이루어지고 모자라다면 민사소송도 제기할수있습니다.
561
562
563
564
5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