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서아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아름 전문가입니다.

서아름 전문가
지율노무법인 성남지사
휴일·휴가
휴일·휴가 이미지
Q.  중소기업 1년미만 근무자 연차촉진.
안녕하세요. 서아름 노무사입니다.1년 미만 근로자의 경우 입사일을 기준으로 연차촉진을 하며, 입사후 1년 되기 3개월 전에 연차 촉진을 시행하고 발생한 연차 11개를 9일과 2일로 두번 나누어 촉진합니다.즉, 9일의 연차에 대해서는 1년 되기전인 3개월 전에 촉진을 하고 2일의 연차에 대해서는 1년이 되기 1개원전에 촉진합니다. 감사합니다.
근로계약
근로계약 이미지
Q.  근로계약서 미작성은 무조건 벌금무나요?
안녕하세요. 서아름 노무사입니다.근로계약서 미작성은 5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에도 적용대상으로 5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임금·급여
임금·급여 이미지
Q.  실업급여 수령 가능기간과 계산법 문의
안녕하세요. 서아름 노무사입니다.30대이시고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7년이라면 210일 정도 수급할 수 있습니다실업급여는 평균임금의 60%으로 최고 상한액은 66000원이고 최저액은 64,192원 입니다.감사합니다.
임금·급여
임금·급여 이미지
Q.  중간퇴사시 급여는 주휴수당 포함인가요?
안녕하세요. 서아름 노무사입니다.통상 간단하게 사용되는 방식을 말씀드리면 총 급여에서 2월달 총 일수로 나눈 금액을 재직기간으로 곱하여 산정합니다. 예를들면 급여가 200만원이라고 했을때, 200만원 나누기 28일로 나온 일급을 재직일수(2/1 ~ 12)로 곱하여 급여를 산정합니다. 해당 방식은 일할계산 방식으로 보통 회사에서 간편하게 사용합니다.감사합니다.
임금·급여
임금·급여 이미지
Q.  퇴직 시 마이너스 연차에 대하여 퇴직 시점 급여에서 공제가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서아름 노무사입니다.회사에서 해당 문구를 근로계약서에 넣어 두어 근로자가 이에 동의하였다면 마이너스 연차를 공제할 수 있습니다.퇴직금 산정의 기초가 되는 평균임금에 반영되는 연차수당은 '퇴직함으로써 비로소 지급사유가 발생하는 연차수당'이 아니라, '퇴직일 이전 1년간의 기간에 지급사유가 발생하는 연차수당'이으로 퇴직금이 낮아질 것으로 보이진 않습니다.감사합니다.
임금·급여
임금·급여 이미지
Q.  5인미만 기업 , 퇴사시 챙겨놔야할게 뭐가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서아름 노무사입니다.원천징수영수증은 중도퇴사자 소득세 정산분이 있어서 받아야 합니다. (통상 마지막 급여에 정산해서 지급합니다.)퇴사시 경력증명서나 실업급여를 수급한다면 이직확인서, 퇴직금 정산내역 등을 받아두면 적당할 것으로 보입니다.감사합니다.
휴일·휴가
휴일·휴가 이미지
Q.  업무출장에 대한 이동시간에 대한 근로시간 인정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서아름 노무사입니다.행정해석에 따르면 출장시 지정된 장소로 이동함에 있어 사용자의 구속을 받으며, 사용자의 지휘명령하에 있을 경우 근로시간으로 볼 수 있으나, 어느정도 자유로운 이용이 보장되어 있다면 근로시간으로 보지 않습니다.해외 출장의 경우 하급심에서 출장중 이동시간이 근로시간으로 인정된 사례가 있으나, 결국 핵심은 출장지로 이동이 직원이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느냐 여부에 따라서 근로시간인지 여부가 결정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임금·급여
임금·급여 이미지
Q.  계약 만료 전에 퇴직할 경우에 퇴직금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서아름 노무사입니다.퇴직금의 경우, 근무일수/365 를 30일로 곱하고, 이에 평균임금을 곱하여 산정합니다. 따라서 계약 1주전에 퇴직을 하거나, 2년을 다채워 퇴직하여도 근소한 차이가 날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임금·급여
임금·급여 이미지
Q.  소프트웨어프리랜서 고용산재 가입 문의
안녕하세요. 서아름 노무사입니다.고용산재 가입대상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인데, 중요한 것은 사용종속관계가 있는지 여부입니다. 즉, 근무시간과 장소가 구속되어 있는지 사용자의 지시를 받아 업무를 수행하는지 여부인데 말씀하신 데이터라벨링 작업의 경우 근무시간이나 장소의 제약이 없고 자유롭게 건수에 따라 일하는 업무라면 사업소득공제 소득으로 진행해도 무방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휴일·휴가
휴일·휴가 이미지
Q.  주 18시간 연장근무도 허용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서아름 노무사입니다.1주 기준 12시간을 위반하게 될 경우 연장근로시간 한도 위반문제가 발생합니다.따라서 12시간이내로 연장근무를 허용함이 바람직합니다. 감사합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