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소준헌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소준헌 전문가입니다.
소준헌 전문가
디앤제이, 매산연세통증의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보험
자격증
정형외과
2024년 7월 17일 작성 됨
Q.
손가락이 퉁퉁 붓고 아픈데 가만 놔둬도되나요?
안녕하세요. 소준헌 물리치료사입니다.자연치유를 하시고 싶으신거 같은데, 우선 냉찜질(15~30이내) 적용하시면서 휴식을 취하시는게 도움이 될꺼 같습니다. 손가락부위는 냉찜질이 어려우실수 있는데 얼음물에 5~10분정도 손을 담그시는 방법을 취하실 수도 있습니다.(아이스팩보다 더 차갑게 느껴지기 때문에 동상의 우려가 발생할수 있어, 많이 차가우시면 빼셨다 다시했다 반복하시면 됩니다)손을 뺀다음 냉감이 가시고 나서(원래 피부온도처럼 돌아온 상태) 이런 과정을 반복하시면 조금 나을꺼에요.(하루에서 이틀정도)다만 병원에서 처방받으시는 약과 같이 병행하시면 치유속도는 더 빠릅니다.통증이 계속 지속되시거나 움직이는게 많이 제한이 있을 경우 다른것도 의심이 될수 있으니 가까운 병원에 내방하셔서 진료보시는게 도움이 될꺼 같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7월 17일 작성 됨
Q.
오늘 발목 골절 수술 부위 실밥 제거 후 피부 색이 이상하네요 괜찮은걸까요?
안녕하세요. 소준헌 물리치료사입니다.초기 멍은 혈액의 성분중 하나인 헤모글로빈 때문에 붉은색/푸른색을 띄게되고 그후 점차 회복되면서 헤모글로빈이 분해되고 보라색/검은색으로 바뀌고 멍이 더 오래됐을때는 헤모글로빈을 분해했을때 생기는 빌리버딘(biliverdin) 때문에 녹색을 띄기도 합니다.마지막으로 거의다 나으실때는 빌리루빈으로 변하면서 노란색이나 갈색으로 변하면서 멍이 사라집니다.붉은색/푸른색 >> 보라색/검은색>> 초록색 >> 노란색/갈색 >> 멍 사라짐.회복되는 과정 중이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으실꺼 같고 지금은 발목을 움직이지 못하시는 상태 같은데, 발목에 영향이 가지 않게 발 중간부분을 잡고 발가락을 조금씩 움직이시면서 붓기를 빼주시면 더 빨리 나으실 수 있을거에요.(passive 상태로 다른분이 도와주셔야 할꺼 같아요) 붓기가 빠졌다 다시 부었다 반복 하실꺼에요.냉찜질 해주시면서 주무실때 배게위에 발을 올리고 주무시는게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7월 17일 작성 됨
Q.
뼈에서 조골세포하고 파골세포의 뜻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소준헌 물리치료사입니다.조골세포(osteoblast) : 뼈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면서 단단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파골세포(osteoclast) : 조골세포로 단단하게 형성된 뼈를 파골세포를 통해서 분해하고 오래된 뼈 조직을 흡수해서 새로 뼈가 형성되는 공간을 만들고 다시 조골세포가 뼈를 형성을 하게됩니다.두 세포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뼈를 재구성하면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고 이해하시면 될꺼 같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7월 17일 작성 됨
Q.
부딪히지도않았는데 노란멍이 생기는이유
안녕하세요. 소준헌 물리치료사입니다.멍은 혈관과 관련이 큰데요. 정말 많은 원인들이 있기 때문에 질문해주신것만으로는 답변드리기 어려울꺼 같습니다.몇가지 적어보면 혈액 응고 장애인 혈우병 같은경우 혈액 응고에 필요한 단백질이 부족해서 멍이 쉽게 생깁니다.폰 빌레브란트병이라고 출혈도 잘생기면서 멍이 쉽게 드는 병이 있고, 혈소판 감소로 인해서 혈액응고가 잘 되지 않으면 멍이 들기도 합니다.비타민 K C B12 결핍시 멍과 출혈을 유발할 수 도 있습니다.정말 많이 있다 보니 이러한 증상이 계속되시거나 악화되시면 지체말고 의사와 상담해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으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정형외과
2024년 7월 17일 작성 됨
Q.
무릎이 불편하니 계단오를때 겁이납니다.이럴때 옆으로 걷는습관은 좋지 않는 방법일까요?
안녕하세요. 소준헌 물리치료사입니다.무릎의 부하는 올라가는것 보다 내려올때 오히려 더 증가 합니다.계단을 오를때 체중이 들어올려지면서 부하가 발생하는데 2~3배까지 증가하며 계단에서 내려올때는 몸전체를 지탱하면서 부하가 7~8배 까지 상승합니다.내려올때는 괜찮은데 올라갈때 통증이 심하신거라면 고관절 쪽에서 잡아주는 장요근이 많이 약할 경우 혹은 운동해서 다쳤을 경우 무릎을 드는 동작이 힘드실 수 있습니다.갑작스럽게 통증이 수반된경우는 병원에서 약물치료하시면서 휴식을 취하시면 나아지지만, 장기간 오래 지속되셨다면 다른 원인이 있으실 수 있으니 가까운 병원 내방하셔서 진료를 권하고 싶습니다.
166
167
168
169
1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