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민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안민선 전문가입니다.
안민선 전문가
노무법인 창공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휴일·휴가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연차는 기본 몇개가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질의]회사에서 연차가 생기는데 일년에 최소 몇개가 생기는건가요?법적인 기준이 있는건가요? 그리고 최대 몇개까지 준다거나 하는 자세한 규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답변]근로기준법 제60조에 의거하여 휴가가 부여됩니다. 1년 미만 근로자의 경우 한달 만근시 한개의 휴가가 발생하고, 1년 이상의 경우 (80%이상 출근) 15개의 휴가가 발생합니다. 매 2년에 1일을 가산한 휴가를 지급받을 수 있고, 한도는 25개입니다.관련 규정 참고하시길 바랍니다.[관련규정]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④ 사용자는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제1항에 따른 휴가에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 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가산휴가를 포함한 총 휴가 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한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근로계약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10개월로 끊어서 근로계약서 작성하는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질의]계약직으로 근무중인데, 근로계약서를 10개월 단위로 작성을 하는데 왜 그러는건가요?연차 퇴직금에 영향이 생기는걸까요?계속근로이기때문에 10개월 단위는 상관 없는건지 궁금합니다.[답변]10개월 단위의 계약을 체결하는 구체적 이유나 의도는 알 수 없습니다. 귀 하의 말씀과 같이 단절없이 계속 근로한 기간으로 인정된다면 10개월 단위로 끊어 계약을 체결한다고 하여 문제될 사항은 없을 것으로 사료됩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임금·급여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퇴직금은 퇴사하고 언제까지 입금되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질의]퇴직금은 퇴사하고 언제까지 입금되어야 정상인가요?만약 그기간안에 안들어오면 신고가능한가요?신고는 어디에 하면 되나요?[답변]근로기준법 제36조에 의거하여, 퇴직후 14일 이내에 모든 금품이 청산되어야합니다. 별도로 지급기일 연장에 대한 협의가 없었음에도 지급되지 않았다면 관할 노동청에 임금체불로 진정 제기하시어 구제받으실 수 있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휴일·휴가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노동청에 신고하고싶은데 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질의]제가 퇴사를 하려고하는데 6월21일이 입사날짜이고 6월 10일까지 일을 하고 30일까지는 나머지 연차로 소진하려고하는데 연차를 소진하지말고 수당으로 줄테니 연차소진을 못하게합니다 연차를 쓰려면 사업자와 합의를 해서 써야한다며 쓰지못하게 합니다. 이렇게 거부하면 노동청에 신고를 해도되는걸까요?[답변]연차유급휴가를 사용하고자함에도 이를 거부하는 경우 관할 노동청에 신고하시어 구제받으실 수 있습니다. 사업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없는 한 연차유급휴가는 근로자가 시기를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임금·급여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최저임금이 어떻게 되는지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질의]현재 최저임금은 어떻게 되나요?직종이나 나이 아무 상관없이 최저임금을 보장 받나요? 최저임금은 매년 올라가는지도 궁금해요%[답변]현재 최저임금은 9,860원입니다. 근로기준법 상 근로자라면 최저임금법을 적용받아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최저임금의 인상은 매년 일정비율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고용노동부 장관의 심의요청, 최저임금위원회의 심의 등으로 결정됩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61
62
63
64
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