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발해는 수도를 몇 차례 옮겼나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발해의 초기 수도는 동모산 인근 지역으로, 현재의 중국 지린성 둔화 지역으로 추정됩니다. 대조영이 698년 발해를 건국할 당시 이곳을 수도로 삼은 이유는,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의 세력을 바탕으로 한 기반지였고, 산악 지형으로 방어에 유리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당나라나 주변 세력의 침입에 대비해 지리적 고립성과 자연적 방어 능력이 중요하게 작용했습니다.이후 발해는 정치적 안정과 중앙 집권 강화를 위해 수도를 여러 차례 옮겼습니다.가장 큰 변화는 문왕 시기에 있었는데, 그는 수도를 상경 용천부로 옮기고 당나라의 장안성을 본떠 도시를 정비하였습니다. 이는 발해의 국력을 대외에 과시하고, 정치와 문화의 중심지를 만들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이후 발해는 동경, 중경, 남경 등 다섯 개의 수도를 두는 오경 체제를 운영하며 국토를 효율적으로 통치하려 했습니다.
Q. 발해의 중앙 정치 체제는 어떻게 구성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발해의 중앙 정치체제는 고구려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당나라의 제도를 적극 수용하여 구성된 이중적 성격의 체제였습니다. 이를 고려나 조선과 비교해보면, 초기 중앙집권적 체제를 발전시키는 과도기적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발해는 중앙 행정기구로 정당성이라는 최고 관부를 두었고, 그 아래에 6부(吏·戶·禮·兵·刑·工)가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이 6부 체제는 당나라의 제도를 본뜬 것으로, 이후 고려와 조선에서도 그대로 이어지는 관제의 뿌리가 됩니다. 특히 조선시대의 육조(六曹) 제도는 발해의 6부와 구조적으로 유사합니다.하지만 발해의 6부는 당나라나 조선처럼 기능별 부서로 엄격하게 나뉘기보다는, 왕권 보좌와 지방 통제를 중심으로 한 기능이 강했으며, 귀족 중심의 지배체제가 강하게 남아 있었습니다. 또한, 발해는 귀족 중심의 정치 운영이 뚜렷하여, 고려 초기와 유사한 귀족 관료제적인 성격도 지니고 있었습니다.조선은 성리학적 이념에 기반해 왕권과 신권의 균형을 중시하는 유교적 관료국가로 발전했지만, 발해는 왕권이 중심이긴 해도 귀족적 기반 위에 세워진 국가 체제였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Q. 발해는 몇 대의 왕이 통치했으며, 가장 영향력 있었던 왕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발해는 698년 대조영에 의해 건국되어 926년 거란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약 229년 동안 존재하였으며, 그 기간 동안 총 15명의 왕이 즉위하였습니다.이들 가운데 가장 영향력 있었던 왕으로는 제3대 문왕(文王, 재위 737~793년)을 꼽을 수 있습니다. 문왕은 발해의 정치, 외교, 문화 전성기를 이끈 인물로 평가받습니다.문왕은 당나라와의 외교 관계를 적극적으로 유지하며 당의 문물을 받아들이고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수도를 중경에서 상경용천부으로 옮기고, 당나라의 장안성을 본뜬 도시계획을 시행하였습니다. 이는 발해가 고대 동아시아에서 높은 수준의 정치 행정 체계를 갖추고 있었음을 보여줍니다.문화적으로도 발해는 이 시기에 불교와 유학이 크게 융성하였고, 교육 기관과 문학 활동도 활발해졌습니다. 일본, 당나라 등과 외교 사절을 주고받으며 국제적 위상을 높인 점도 문왕의 중요한 업적입니다.
Q. 이스라엘의 이란을 공격하는건 정당한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이스라엘은 국제적으로 공식 제재를 부과할 수 있는 지위는 아니지만, 자국의 안보를 이유로 독자적 행동을 감행할 수 있는 '사실상의 영향력'과 군사적 능력을 가진 국가입니다. 이스라엘은 중동에서 유일하게 핵무기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진 국가로, 주변 국가들과의 적대적 관계 속에서 자국의 생존과 안보를 최우선으로 여깁니다. 특히 이란은 이스라엘을 향해 여러 차례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발언을 해왔고, 이란이 지원하는 무장단체(헤즈볼라, 하마스 등)와도 적대적 관계에 있기 때문에, 이란의 핵개발은 이스라엘 입장에서 직접적인 위협으로 간주됩니다.비록 이스라엘은 유엔 안보리나 국제기구처럼 공식적인 제재 권한은 없지만, 군사력, 정보력, 외교력(미국과의 긴밀한 관계) 등을 바탕으로 자국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될 경우 독자적으로 군사적 조치를 취해왔습니다. 대표적으로 1981년 이라크의 오시라크 핵시설, 2007년 시리아의 핵시설을 선제 타격한 사례가 있습니다.따라서 네타냐후 총리가 이란의 핵개발을 막겠다고 주장하는 것은, 국제적 법적 권한보다는 이스라엘의 안보 논리와 실질적 행동 능력에 기반한 입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은 국제사회에 경고 메시지를 주는 동시에, 필요 시 직접 행동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는 것이기도 하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