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대 그리스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과 법적 지위는 어떠했나요
아테네 등 그리스의 대부분의 폴리스에서 여성은 시민권이 없습니다. 즉 정치적 권리인 참정권, 공직 진출이 불가능했습니다. 법적으로는 결혼 전에는 아버지, 결혼 후에는 남편의 보호와 통제 아래 놓여 있었으며, 재산 상속이나 소유권도 극히 제한적이었습니다. 이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열등하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여성의 주된 역할은 가정 내에서 남편과 자녀를 돌보고, 가사와 양육을 책임지는 것이었습니다. 공적 영역(정치, 학문, 예술 등)에서의 활동은 거의 불가능했고, 외출이나 사회적 활동도 엄격히 제한되었습니다. 그렇지만 스파르타는 여성은 전사를 생산하는 어머니로 지위가 상대적으로 높아 재산을 소유하고, 교육을 받는 등 지위가 높았습니다.
Q. 서구권의 고대 문명은 어떻게 바다를 통해 확장되었나요
지중해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 등이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페니키아, 그리스, 로마, 비잔티움 등 다양한 문명이 해상 교역로를 통해 상품과 문화, 기술을 교류하며 발전했습니다. 올리브유, 포도주, 직물, 도자기 등이 바다를 통해 이동했습니다. 특히 로마는 지중해를 '내해'로 만들어 유럽, 아프리카, 서아시를 하나의 문명권으로 묶었습니다.
Q. 냉전시대에 펼친 미국의 봉쇄정책과 도미노 이론이라는게 무엇인가요?
냉전 시대에 미국은 봉쇄정책을 통해 공산주의 세력의 확산을 막으로 했습니다. 1947년 조지 캐넌이 제안한 이 정책은 소련이 더 이상 영향력을 넓히지 못하도록 군사적, 경제적, 정치적, 심리적 수단을 모두 동원했습니다. 대표적인 것으로 마샬 플랜, 나토 창설, 투르먼 독트린 같은 것이 있습니다. 특히 도미노 이론은 한 나라가 공산화되면 인접 국가들도 연쇄적으로 공산화된다는 생각입니다. 미국은 이 이론에 따라 베트남, 한국 등에서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해 군사적 개입과 지원을 정당화했습니다. 도미노 이론은 봉쇄정책의 핵심 논리 중 하나로, 냉전기 미국의 대외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