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중세서구권에서 대학교는 어떻게 탄생하고 무엇을 가르킨것인가요
교회와 수도원의 부속학교가 있었으나 11세기 도시의 상업의 부활, 시민의식의 성장, 교회 개혁 등 사회 변화가 대학을 탄생시켰습니다. 학생과 교사들이 조합 형태로 결집해 자치권과 독자적 권리를 확보하며 '우니베르시타스(Universitas)'라는 명칭이 생겼습나다. 학부 과정은 7자유 교과를 가쳤으며, 전문 과정으로 신학, 법학, 의학 등을 교육했습니다. 초기에는 성직자 양성을 위한 교육이 중심이었으나, 점차 세속적 지식과 전문직 진출을 위한 교육으로 확장되었습니다.
Q. 고조선은 각 지방을 어떻게 다스렸나요?
고조선이 지방을 어떻게 다스렸는지 사료적 한계로 정확하게 알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박사, 대부, 상, 대신, 장군 등의 관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지방 통치도 존재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한과의 전쟁 중에서 전선을 이탈해 왕검성이 함락되는데 결정적인 작용을 했던 조선상 노인, 니계상 참, 상 한도 등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상은 일정한 세력 집단의 대표로 중앙 정치에 참여한 유력 세력이 이었을 것입니다. 이들 집단에 대한 중앙 정부의 통제력이 일정 범위에서 작용했지만 각 집단은 내부적으로 자치를 했습니다. 이는 삼국 초기 부체제와 연결됩니다.
Q. 5군영 체제의 장단점에는 무엇이 있나요?
5군영은 훈련도감, 어영청, 금위영, 총용청, 수어청을 말합니다. 상비군으로 구성되었으며 급료병 중심으로 운영하였습니다. 이는 군사력을 강화하고, 전시에도 신속한 대응이 가능했습니다. 각 군영이 역할을 분담하여 군사 운영의 효율성과 전문성이 높았습니다. 하지만 각 군영의 운영비와 병력 유지비로 인해 농민 등 백성의 부담이 커졌으며, 국가 재정이 약화되었습니다. 또한 군영이 당파(서인 등)의 군사적 기반이 되어 정치적 대립과 파벌 싸움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리고 군영마다 병력 구성, 운영 방식이 달라 통일성과 효율성이 떨어졌고, 대규모 작전에는 취약한 구조였습니다.
Q. 왕권의 훈요 10조 중 핵심적인 내용은 뭘까요?
훈요 10조는 태조 왕건이 후손들에게 남긴 유훈으로 불교 중시와 왕권의 안정, 그리고 국가 통치의 기본 원칙을 제시했습니다. 불교를 국가의 근본 이념하고 연등회, 팔관회 등 전통 행사를 중시했습니다. 왕위 계승 원칙을 남겼는데, 적장자가 우선이되 덕망 있는 왕자나 형제도 오를 수 있도록 명시했습니다. 중국 문화를 존중하되 무조건 따르지 말고, 거란 등 이민족 풍습을 배격하라고 하였습니다. 풍수지리와 서경을 중시하고 공정한 인사를 중시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