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유영화 전문가
남성학원
Q.  백제 무령왕의 22담로는 어떤 기구였나요?
백제 무령왕의 22담로는 지방 통치 강화를 위해 설치한 행정 거점이자 왕권 중심의 중앙 집권 체제를 뒷받침한 제도입니다. 백제가 한강 유역을 고구려에 빼앗기고 웅진으로 천도한 이후 귀족들이 득세하고 왕권이 약했습니다. 이에 무령왕은 전국 22개의 담로를 설치하고, 왕의 자제나 왕족을 파견하여 직접 다스리게 하여 귀족세력을 견제하게 한 것입니다. 담로는 단순한 행정 구역이 아니라 군사, 행정, 사법 권한을 가지고 지방 통치의 핵심 거점 역할을 하게 하였습니다. 왕족이 직접 지방을 통치하게 함으로써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한 것입니다. 즉, 담로제는 무령왕이 왕권 강화와 지방 통체, 귀족 세력을 견제를 위해 설치한 지방 행정 거점입니다. 이는 백제 중앙 집권 체제의 핵심적 역할을 했던 것입니다.
Q.  살수대첩에서 고구려가 크게 승리한 비결이 뭘까요?
을지문덕은 거짓 항복과 패하는 척하는 청야 전술로 수나라군을 평양성 부근까지 유인하였습니다. 그리고 게릴라전으로 수나라군을 장기간 소모시키고, 보급로를 차단해 전의를 상실하게 했습니다. 특히 을지문덕은 여수장 우중문에게 침략의 실수를 꾸짖어 후퇴하게 하였으며, 결국 철수하는 도중, 병력의 절반이 강을 건널 때 고구려군이 총공격을 가해 수나군을 괴멸시켰습니다. 이로 인해 30만 대군 중 2700명만 살아남는 대승을 거둘 수 있었습니다.
Q.  고려의 중서문화성은 원간섭기에 어떻게 변했나요?
중서문하성은 고려 시대 국정을 총괄한 기구입니다. 그러나 원의 압력으로 왕실의 호칭과 관제가 격하되었습니다. 그 사례로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이 병합되어 '첨의부'로 개편되었습니다. 이로써 중서문학성의 독자적 기능과 권한은 약화되었습니다. 중서문하성 산하의 관직들도 첨의부 체제에 맞춰 명칭과 역할이 바뀌었습니다. 최고 관직인 문하시중도 첨의중찬 등으로 격하되었습니다.
Q.  사마의는 조조를 속인건가요? 삼국지
사마의가 조조를 속여 위나를 위태롭게 할 계획을 세웠다는 증거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실제 사마의는 처음에는 조조와 조비에게 충성을 다해 실력을 인정받았습니다. 조조 역시 사마의를 경계하고 의심했지만 특별하게 반역을 도모할 것이라는 것을 판단하지 않았습니다. 사마의 가문의 후손이 결국 위나라를 멸망시킨 것은 사마의 말기에 왕실이 약화되고, 사마씨 가문이 강력해지면서 점진적으로 진행된 결과라고 추정합니다.
Q.  발해의 지방체제는 어떻게 이루어졌나요?
발해는 5경 15부 62주, 현의 4단계 행정 체제로 구분하여 넓은 영토를 통치하였습니다. 5경은 상경, 중경, 동경, 남경, 서경으로 왕족이나 귀족의 거점이 되었습니다. 15부는 지방 행정의 중심 단위로 각부에는 중앙에서 파견된 도독이 장관으로 다스렸습니다. 62주는 부 아래 행정 단위로 각 주마다 자사가 파견되었으며, 현은 말단 행정 단위로 현승이 다스렸습니다. 그리고 말갈족 등 일부 지역은 촌장이 다스렸습니다.
2312322332342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