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시골 농지를 샀어요 ~일부를 대지로 바꾸려고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해당 부분은 농지전용허가를 지자체로부터 받으셔야 하는데, 우선 해당 허가절차가 쉽지 않다는 점은 참고하셔야 하고 비용의 경우에는 크게 농지전용부담금, 취득세와 등록세, 기타설계 및 공사비용이 소모될수 있습니다. 대략적인 수준을 설명드리기는 어려우며, 농지전용부담금의 경우 전용하려는 농지면적 100평(330제곱미터) X 개별공시지가 X 30% 으로 계산하시면 되고, 세금의 경우는 취득가액을 알수 없어 정확한 산정이 어렵고, 설계 및 공사비용도 적지 않게 발생하게 될것으로 보입니다, 세부적인견적은 관련 설계,시공업체와 지자체를 통해 각각 알아보셔야 할것 보입니다.
Q. 서울에 아파트가 급등세를 보이는데 요즘 가장 핫한 서울지역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KB부동산이 5월말에 발표한 주택평균 매매가격을 자료에 따르면 기준월 전달 기준으로 서울에서 가격상승률이 가장 큰 구는 1위가 서초구 , 2위가 양천구, 3위가 강남구, 4위가 성동구, 5위가 영등포구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주로 재건축단지가 몰려있는 구와 한강 조망권 단지를 중심으로 주택각겨이 상승하는 분위기라는 해석이 가능하고, 아무래도 똘똘한 한채가 집중된 상급지인 강남3구와 마용성(마표,용산,성동구) 중심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
Q. 전입신고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질문1) 이 때, 저는 약 두 달 동안 주소지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일단 부모님 집으로 두 달 동안 전입신고를 해놓는게 나을까요? -> 과정상 질문처럼 하셔야 합니다. 우선 현재상황에서 새 세입자가 전입신고를 하게 되면 동거인으로써 전입이 가능할수 있으나 이럴 경우 세대주가 아니기에 대항력이 확보되지 않을수 있어 대출유지에 문제가 될수 있습니다. 그에 따라 본인은 9월1일 전출을 하셔야 하기에 부모님집에 일단 전입신고를 하시는게 맞을 듯 보입니다. 질문2) 보금자리론을 신청할 때, 제 현거주지를 입력해야 합니다. 이 때, 저는 부모님 집 주소를 입력하면 될까요? (주민등록상 거주지?)-> 해당 부분은 정확히 은행을 통해 확인하셔야 할 부분이나, 보통은 전입신고가 된 주소지를 기재하시는게 문제소지가 적습니다. 사실상 은행이 전입신고된 거주지에서 실거주를 하는지 여부는 질문자님이 위와 같은 질문을 하지 않는이상 알수 없는 부분이기 떄문입니다.
Q. 월세 계약을 두개 해도 될까요? 지역이동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계약상 한사람이 두건의 임대차계약을 진행해도 계약효력상 문제나 법적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전입신고에 따른 대항력은 한곳에만 유지가 가능하기 떄문에 질문처럼 새로 구한 주택에 전입신고를 하지 못할 경우 대항력을 얻을수 없어 보증금 보호에 리스크가 있을수 있습ㄴ다, 그럼에도 상황상 어쩔수 없다면 질문처럼 기존주택의 보증금 반환전까지 전입신고를 그대로 하신뒤에 반환후 새로운 주택에 전입신고를 하시는 방법이 있을수 있고, 기존주택에 가족중 한분을 전입신고한뒤 본인만 새로운 주택에 전입신고를 하여 두곳의 대항력을 유지하는 방법도 고려해볼수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