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가계약금 이체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가계약금은 부동산 거래에서 정식 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본 계약에 대한 약속의 의미로 주고받는 소액의 금원입니다. 이러한 가계약금은 계약금의 일부로서 인정받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인정 여부는 가계약금을 주고받을 때 어떤 행위들이 있었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일반적으로 가계약금은 계약금의 일부로 인정되며, 만약 가계약금을 주고받을 때 중요한 사항에 대한 합의가 있었다면 정식 계약과 동일한 효력을 갖습니다. 이 경우 가계약금은 계약금의 기능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향후 합의 사실에 대한 논란에 대비하여 매매목적물과 거래금액, 중도금 및 잔금 기일 등을 문서(가계약서)로 작성해 두거나 문자로 남기고 이에 동의한다는 회신(당사자 미참석시 신분증 사진 포함)을 받아두는 것이 좋습니다.또한 가계약금을 이체할 때, 가계약금에 관한 서약서 없이 이체해도 가계약금을 안전하게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중개사님이 계좌번호를 보내면 이체하면 된다고 하셨으므로, 해당 지침에 따라 이체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중요한 사항은 중개사님과의 대화 내용을 통화녹취록 파일로 가지고 있으시다면, 이를 보관해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가계약금에 관한 합의 내용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Q. 부동산 공시지가를 폐기한다고 하는데 토지와 주택가격의 변화추이는?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정부가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을 재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을 드리겠습니다. 이에 따라 토지와 주택의 가격 변동에 대한 예측은 다음과 같습니다: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기존 현실화 계획은 시세 변동에 현실화율 인상분을 추가 반영하는 구조입니다.국민들이 통상적으로 기대하는 수준보다 매년 공시가격이 높게 산출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현실화 계획은 9억 이상 고가주택과 토지에만 빠르게 시세를 반영함으로써 주택가격에 따라 현실화율 편차가 커지고 주택과 토지의 현실화율 격차도 벌어지는 등 공정성이 저해되는 구조입니다.내년 표준주택 공시가격 변동:내년도 공시가 현실화율은 2020년 수준으로 2년 연속 동결됩니다.공동주택 기준으로 69% 수준의 현실화율이 적용될 전망입니다.이번 동결 조치로 인해 2024년 공시가격에 적용될 현실화율은 기존보다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부동산 시장 전망: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입니다.현실화 계획 폐기 여부와 관련하여 정부의 대안 방안을 기다려봐야 합니다.주택 가격 변동은 정책 변화, 경제 상황, 거래 활성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이러한 변화에 따라 부동산 시장은 미래에 어떻게 움직일지 예측하기 어렵지만, 정부의 정책 결정과 시장 상황을 주시하며 조심스럽게 대응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