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주택도시기금 버팀목 청년전세자금 대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주택도시기금(HUG)의 버팀목 청년전세자금 대출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보증한도는 대출 한도입니다. 즉, 주택도시기금에서 버팀목 청년전세자금 대출을 받을 때, 보증한도가 대출 가능한 최대 금액입니다.보증한도는 소득과 신용에 따라 다릅니다. 주택도시기금은 대출 신청자의 소득과 신용 상태를 고려하여 보증한도를 결정합니다. 일반적으로 부부합산 연소득이 5천만원 이하인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하며, 대출한도는 최대 2억원 이내입니다. 수도권 지역은 1.2억원 이내로 제한됩니다.따라서 실제 대출 가능한 금액은 보증한도와 소득, 신용 등의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정확한 대출 금액은 주택도시기금의 상담을 통해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Q. 임대인입니다. 임차인 퇴거시 확인해야할 사항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임차인이 퇴거할 때 확인해야 할 사항과 공과금 정산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공과금 정산 방법:전기요금: 이사 당일 일찍, 한전(전화번호: 123)으로 연락하거나 온라인으로 요금 정산합니다.수도요금: 이사 당일 일찍, 거주하는 지역의 수도사업소나 다산 콜센터(전화번호: 120)에 문의하거나 온라인으로 요금 정산합니다.도시가스요금: 이사 3~7일 전에 해당 지역의 도시가스 지역센터로 연락하여 이사 전 가스 정산을 신청합니다.정산 방법 상세 설명:전기요금: 한전(한국전력)의 전화번호를 걸어서 전기 사용량을 확인하고 정산합니다.수도요금: 수도사업소에 전화하거나 온라인으로 수도 사용량을 확인하고 정산합니다.도시가스요금: 해당 지역의 도시가스 콜센터에 전화하여 가스 사용량을 확인하고 정산합니다.퇴거시 확인해야 할 사항:벽지 찢어짐, 화장실 타일 파손 여부방충망 파손 여부문 여닫이 확인월패드 고장 여부누수 및 곰팡이 여부전등, 보일러 등 내부 가전 확인이상의 사항들을 확인하여 임차인과 원활한 퇴거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퇴거 시에는 상호 협조를 통해 정산과 관련된 모든 절차를 완료해 주시기 바랍니다.
Q. 월세 묵시적갱신상태에서 임대인의 월세인상 요구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묵시적 갱신 상태에서 임대인이 월세를 인상하는 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묵시적 갱신:묵시적 갱신은 임대차 계약 만기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까지의 기간 동안 서로 가만히 있으면 계약기간이 연장되는 것을 의미합니다.최근 개정된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르면, 묵시적 갱신 기간은 2년으로 설정되었습니다.묵시적 갱신 상태에서는 월세를 올리는 것이 가능합니다.월세 인상 요구:주택임대차보호법 제7조에 따라 임대인은 묵시적 갱신 상태에서도 월세를 증액할 수 있습니다.다만, 증액은 월세의 5% 이내로 제한됩니다.따라서, 임대인이 5% 이내의 증액을 요구하면 임차인은 거부할 수 없습니다.월세와 관리비에 대한 5%:월세와 관리비를 합한 금액에 대한 5% 증액은 월세 비용인 400,000원에 대한 5%인 20,000원입니다.따라서, 현재 월세 400,000원에 관리비 30,000원을 합한 430,000원의 5%는 21,500원입니다.요약하자면, 묵시적 갱신 상태에서 임대인은 월세를 5% 이내로 인상할 수 있으며, 월세와 관리비를 합한 금액에 대한 5%를 계산하여 요구할 수 있습니다. 임차인은 이를 거부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