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역사
역사 이미지
Q.  친구를 뜻하는 사자성어들은 어떻게 생겨낫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먼저 관포지교 管鮑之交는 관중과 포숙의 사귐. 즉 영원히 변치 않는 참된 우정을 뜻합니다. 춘추전국시대 제나라의 관중과 포숙이라는 인물이 있었는데 폭정에 의해 혼란이 계속되자 관중은 노나라로 포숙은 거나라로 망명하였습니다. 그러다 제나라의 폭군 양공이 살해되고 혼란이 계속되어 군주자리가 비게 되자 공자 규와 그의 동생 소백이 서둘러 귀국길에 올라 형제가 권력 쟁탈전을 벌이게 됩니다. 그 사이에 관중은 규와 함께 하고, 포숙은 소백과 함께 하고 있었습니다. 결국 소백이 이기게 되고 잡힌 관중이 사형에 처해 지게 되는 순간 포숙이 나서서 천하의 패자가 되기 위해서는 관중을 등용하라고 하여 죽이지 않고 등용하게 됩니다. 이에 관중은 사람들에게 어린시절부터 이어온 그의 됨됨이를 칭송하며 자신을 낳아준 사람은 부모님이지만 자신을 알아준 사람은 포숙이라며 서로를 존중하고 변치않는 우정을 증명한 일화에서 나온 말입니다. 죽마고우 竹馬故友는 중국에서 대나무로 만든 말을 타고 놀았던 옛 친구를 가리키는 표현 가운데 가장 자주 쓰이는 말입니다.진나라 때 촉 땅을 평정하고 돌아온 환온의 세력이 날로 커지자 12대 황제 간문제가 이를 견제하기 위해 은호를 건무장군 양주지사에 임명하였습니다. 그는 환온과 어릴 때 친구였는데 이로 인해 두 사람은 정적이 되었습니다. 왕희지(王羲之)가 화해(和解)시키려고 했으나 은호(殷浩)가 듣지 않았다. 오호십육국 중 하나와 중원의 땅을 놓고 전쟁에 은호가 군사를 이끌고 출병했으나 도중에 말에서 떨어지는 바람에 제대로 싸우지도 못하고 결국 패배하였습니다. 이에 환온은 은호에게 책임을 묻는 상소를 올렸고 이에 변방으로 귀양가게 됩니다. 그리고 환온은 사람들에게 "은호(殷浩)는 나와 어릴 때 같이 죽마(竹馬)를 타고 놀던 친구였지만 내가 죽마를 버리면 은호가 늘 가져가곤 했다. 그러니 그가 내 밑에서 머리를 숙여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 아닌가"하며 비난하고 무시하여 은호는 귀양지에서 생을 마치게 됩니다. 그래서 죽마를 타고 놀았던 옛날 친구라는 말이 생겨난 것입니다. 그 유래는 좋은 친구의 뜻은 아닙니다. 마지막으로 지란지교 芝蘭之交는 지초(芝草)와 난초(蘭草) 같은 향기(香氣)로운 사귐이라는 뜻으로, 벗 사이의 고상한 교제를 이르는 말입니다. 이것은 명심보감의 교우편에 나오는 말로 공자가 말하기를 "착한 사람과 같이 살면 향기로운 지초와 난초가 있는 방안에 들어간 것과 같아서 오래도록 그 냄새를 알지 못하나 곧 더불어 그 향기가 동화된다"라는 구절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세시대에는 샤워를 안해 몸에서 악취가 났다는게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세시대에는 위생 관념이 거의 제로에 가까웠습니다. 하수도 시설이 되어있지 않아 용변통에 똥오줌을 모아두었다가 길에 버리거나 강에 버리는 일이 허다했습니다. 중세의 기사들의 경우 갑옷을 입고 전쟁을 하다가 벗고 용변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입은 채로 볼일을 보고, 전쟁이 끝난 후 돌아와서 땀, 소변, 대변 등등이 범벅이 되어있는 갑옷을 소변, 모래, 식초를 섞은 것을 비누대용으로 하인에게 갑옷을 닦도록 했다고 합니다. 전혀 안씻지는 않았으나 정말 평생 씻지 않는 사람이 있을 정도로 잘 씻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14세기 유럽 전역을 휩쓸고 간 흑사병과 각종 전염병의 원인이 물이라고 하여, 물에 대한 공포감이 만연했습니다. 인간의 피부는 물을 막아주지 못하고 쉽게 통과시킨다고 중세인들은 믿고, 물로 씻으면 모공이 열려 그 곳을 통해 나쁜 것들이 몸으로 침투하여 병을 일으킨다고 믿었습니다. 왕족들도 마찬가지였는데 프랑스 루이 14세의 경우 평생 2번만 씻었다는 이야기가 있고 그의 입냄새는 최고였다고 전해오고 있습니다. 스페인의 이사벨라 여왕의 경우 결혼식과 출산일 2번만 씻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그래서 중세의 귀족들은 천을 가지고 다니며, 땀이랑 오물을 닦았고, 씻는 것 대신 옷을 자주 갈아입는 것으로 더러움을 감추었고, 이에 몸에서 나는 악취를 감추기 위해 향수가 발명되었다고 합니다. 실제로 15세기 의학 논문에는 목욕이 몸을 따뜻하게는 하지만 약화시키고, 모공을 확장시키므로 질병이 생긱기 쉽고 사망할 수도 있ㄷ가고 경고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에 따라 공중 목욕탕도 법령에 의해 폐쇄되었고, 17~18세기에는 목욕을 전혀 안하는 문화가 정착되었었다고 합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베토벤은 귀가 안 들리는데도 어떻게 작곡을 할 수 있었는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중에 청력이 떨어졌으나, 그 때까지 음악을 해오면서 그 음에 대한 이미지를 떠올릴 수 있을 정도로 절대음감이었기에 귀로 듣지 않아도 어떻게 연주되고 어떤 느낌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아무나 할 수 있는 능력은 아니지만 불가능하지 않습니다. 처음부터 그 음이 어떤 음인지를 알 수 없었다면 작곡이 불가능했겠지만, 오랜 기간 동안 경험하였던 것이기 때문에 청력을 잃은 것이 불편했을 수는 있지만 작곡이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비너스 조각상의 팔은 왜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가 팔이 없는 모습으로 감상하는 비너스 상은 밀로의 비너스입니다. 이것은 작자가 누구인지는 알 수가 없고, 1820년 밀로스 섬에서 한 농부에 의해 발견되었기에 밀로의 비너스라고 합니다. 발견 당시 이 조각상은 팔이 소실된 상태로 발견되었습니다. 이 조각상은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되었는데 팔을 복원하기 위해 여려 방면의 포즈와 형태, 비율, 위치를 감안하여 시뮬레이션 해보았으나, 지금의 팔이 없는 발견 당시 형태의 아름다움을 뛰어넘을 수 없어서 두 팔이 없는 형태의 비너스로 남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유는 명확하지는 않으나 전쟁, 지진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조각상이 넘어지면서 부러진 것이 아닌가 추측해봅니다. 본 조각상은 상반신, 하반신으로 분리하여 제작 후 합쳐진 것으로 발견 당시에도 상하체가 분리된 채로 발견되었었다 합니다. 그렇게 쓰러지면서 부러진 팔은 소실된 것 같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영어단어 관련 궁금한점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de-caffeine의 de는 분리, 제거, 감소의 뜻을 가지고 있는 접두사입니다. 따라서 디카페인 커피의 경우 원래 커피는 다량의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커피 추출 후 임의적으로 카페인을 줄이거나 제거한 커피이므로 de-를 사용합니다. Non-alchohol 또는 No-alchohol이라고 하는데 No나 Non은 그냥 편할대로 쓰면 되는 것이고, 제품에 알코올이 들어있지 않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마지막으로 Sugar free의 free의 경우는 위의 것과는 조금 다릅니다. free는 자유로운, 속박이 없는 이라는 의미를 가진 형용사입니다. 따라서 설탕의 섭취를 줄이려는 사람의 심리적인 안도감을 주기 위한 방안으로 극단적 거부감을 줄이고, 긍정적인 반응을 고려하여 No 보다는 free를 쓰는 마케팅 방안이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위의 말은 처음 쓸 때 선택의 문제라고 보입니다. 지금도 sugar free 말고도 No sugar도 쓰이고, non-alchohol 말고도 alchohol free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caffeine도 마찬가지 입니다. 그리고 참고로 de, non, free 등으로 되어있는 제품들도 그 맛을 유지하기 위해서 소량의 함량은 유지하거나 그 맛의 대체 성분이 들어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23623723823924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