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소설 기법 중 내러티브 기법은 어떤 기법이고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내러티브라 함은 정해진 시공간 내에서 인과 관계로 이어지는 허구 또는 실제 사건들의 연속을 뜻합니다. 문학에서의 내러티브 기법이라 함은 서술 기법 중의 하나입니다. 노인과 바다에서의 내러티브 기법이라 함은 어떤 특별한 기법이라기 보다는 소설 속 이야기를 시점전환, 주인공 산티아고, 어린 견습생 마놀린, 산티아고의 바람이자 자연의 강함의 상징인 청새치, 자연의 파괴적인 힘과 삶의 도전을 나타내는 상어 등의 관계를 이미지, 상징, 은유, 대화를 통해 서술하면서 독자에게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시점과 화자의 전략적인 배치를 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을 산티아고의 여정과 그가 직면한 도전을 따라가는 섹션로 나눈 내러티브 구조로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독자는 이 소설 속에 자신이 몰입하게 되고 산티아고와 마놀린의 삶이 자신의 삶과 동일시 하여 소설 속에서 그 여정을 함께하고 고민하고 이겨나가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Q. 현대 문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자기서사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자기서사란 시공간에서 벌어진 사건이나 인물의 행동을 묘사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자신의 이야기를 1인칭 주인공의 시점으로 말하게 되고 '나'라는 존재는 대상화가 되어 자신을 알게 되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됩니다. 그림으로 비유하자면 자화상이 되는 것입니다. 시공간, 기물(器物), 인물(작가)의 구체적 행동 등의 구성이 작가의 심리적 측면인 자의식, 자기 성찰, 욕망 등을 다른 표현 방식보다 좀더 가깝고 세밀하게 표현해주기 때문에 현대문학에서 자기서사라는 내용으로 서술하게 되면 좀더 몰입감을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