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음악
음악 이미지
Q.  주도(술자리예절)는 우리나라에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술자리 예절은 외국사람들은 자신들의 나라에는 특별히 없다고 생각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이웃나라 일본의 경우 함께 술자리를 한 사람이 잔에 채워진 술을 마시게 되면 잔에 술이 남아있더라도 가득 채워주는 첨잔이 예의있는 행동이라고 합니다. 중국에서도 건배 후 한번에 술잔을 다 비우는 것은 예의에 어긋난다고 합니다. 장판 깔 듯이 약간 남겨두면, 그 위에 잔을 다시 채워주어 마신다고 합니다. 프랑스의 경우 손님을 초대한 경우 자기 스스로 잔을 채워서는 안되고, 손님의 잔이 비어있는 것을 그대로 두어도 예의에 어긋난다고 합니다. 독일에서 건배사를 외칠 때 잔을 눈높이까지 들었다가 가슴에 가져간 후 상대방의 눈을 응시한 후 다시 잔을 들어 마십니다. 이것은 예의도 있지만, 이렇게 하지 않으면 7년간 연애를 못한다는 미신도 있다고 합니다. 스페인은 살루트 아무르 이페세타스 또는 샬룻을 외치며 잔을 세번 부딫히고 마신다고 합니다. 이탈리아에서는 권주문화가 있기 때문에 누군가 술을 권했을 때 그것을 거절하게 되면 인정이 없고 예의가 없는 사람으로 오해받을 수 있습니다. 영국사람들은 함께 술자리를 한 사람이 나의 술잔을 계산하였다면, 다음 술잔은 내가 계산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여러 사람이 있다면 한명씩 돌아가면서 그렇게 한다고 합니다. 이것 외에도 여러 나라의 술문화와 예의범절이 있을 것 같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괴테의 명언 중에 전하고 싶은 말인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무식한 것을 두려워 하지 말라'는 말은 배우지 못해 지식이 모자라는 것에 대해 부끄러워 하지 말라는 뜻으로, 모르는 것은 독서나 교육을 통해 배워가면 된다는 긍정적인 의미입니다. '허위의 지식을 가지고 있음을 두려워 하라'는 말은 차라리 모르면 나서서 아는 척을 한다던가, 그에 따른 잘못된 판단이나 행동을 하지 않을 것인데, 잘못된 지식을 가지고 있으면, 그것이 그릇된 신념이 되어 나 자신과 나아가서는 사회에 악을 끼칠 수 있음을 경계하라는 의미입니다. 종합해서 보면 괴테는 배우지 못하여 모르는 것은 지금부터 배워서 깨우치면 되지만, 잘못 배워 그릇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은 그것을 근거로 잘못된 판단과 행동을 하여 자신과 사회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미술품 가격은 어떻게 정해지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술품의 가격은 여러가지 요소를 반영합니다. 독창성, 특이성, 시대적, 철학적 의미, 작품 자체의 질 작가의 가치 등을 고려하여 감정가를 책정 합니다. 이러한 가치에 그림을 중개하는 갤러리의 수익을 포함시켜서 그 가격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작품의 가치를 폭등시키는 요소로는 이러한 유명한 작가의 작품이 많이 남아있지 않은 채로 작가가 사망하였다면, 더이상 그 작가의 작품을 볼 수 없다는 희소성으로 인해 가격이 폭발적으로 상승하기도 합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독일은 왜 빨강색 지붕의 집이 많은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독일, 그리고 대부분 유럽의 지붕이 빨간 이유는 단순하게도 흙을 구워 만든 기와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흙을 구워 만든 기와는 붉은 색을 보입니다. 다른 색소나 물질을 넣어 만들면 다른 색으로도 할 수 있습니다. 지금도 독일이나 유럽에는 왜 빨간 지붕이 대부분이냐? 그것은 독일과 유럽은 오래 된 건물을 보존하거나 복원하여 지금도 유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일부 도시는 새 건물을 지을 때 주변과의 조화를 해치지 않도록 법으로 지붕색이나 건물 외부 페인트 색까지 규제하는 사례도 있습니다.우리나라의 경우도 과거 한옥에 사용되었던 기와의 색은 모두 검은색이었습니다. (흙과 다른 것이 들어가나 봅니다.)우리나라도 유럽처럼 법적인 제제를 하였었다면, 독일이나 유럽처럼 검은색으로 즐비한 풍경이지 않았을까 합니다. 지금도 한옥마을 등에 가서 항공사진이나 드론 촬영사진을 보면 검거나 잿빛 색의 풍경을 볼 수 있습니다. 말씀처럼 특정지역에 지붕 및 외벽색을 통일하는 법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동남아시아라고 부르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남아시아라는 명칭으로 불리운 지는 근대에 들어와서입니다.2차 세계대전 중 해당 지역을 점령한 일본에 대항하기 위해 1943년 실론(스리랑카)에 연합군에 의한 “south east asia command"가 창성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이에 앞서 1839년 미국인 목사가 쓴 여행기의 제목에 "south-eastern asia"라는 이름이 거론되었었지만, 대륙만 포함했을 뿐 도서 국가들은 포함되지 않았기에 지금의 동남아시아와는 범위의 차이가 있었습니다. 동남아시아라는 명칭이 사용되기 전에는 과거 그 지역들이 대부분 유럽국가들의 식민통치지역이었기 때문에 해당지역명 또는 국가명 앞에 영국령, 프랑스령, 네덜란드령 등으로 불리었습니다. 동양에서 보는 시점으로는 당시 강국이었던 중국의 시점으로 볼 때 현재의 동남아시아 지역은 남양이라고 불리었다고 하고, 필리핀, 보르네오 등은 동양, 베트남과 그 주변 지역을 서양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그러다 일본이 강국으로 떠오르고 메이지유신 이후 아시아를 동양, 유럽을 서양으로 호칭함에 따라 남양은 동남아시아만을 지칭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현재 동남아시아의 범위에는 필리핀,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 버마, 부루나이의 10개국이 속한다고 합니다. 필리핀의 경우 16세기까지는 외부와 단절된 상태였고 스페인에 의해 식민지화 되었습니다. 1955년 초판본 동남아시아사라는 책에서는 필리핀은 제외되었었다가 1964년 개정판이 되어서야 포함되었으니 이 시점에 동남아시아의 지역 범위가 고착화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역으로 보지 않고 문화적 공통성으로 본다면 스리랑카, 인도의 아쌈, 안다만 열도, 중국 운남성, 대만 등도 동남아시아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인류학자들도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더 깊숙하게 연구가 되고 있는 듯 합니다. [참고 - 레포트샵 '동남아시아 지역연구 사건과 분쟁을 중심으로 동남아시아 명칭 유래 동남아시아' 샘플 보기 자료 참조]
2462472482492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