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역사
역사 이미지
Q.  전세계에서 유명한 스타벅스의 이름의 유래를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스타벅스라는 이름의 탄생 유래는 다음과 같다고 합니다. 최초의 스타벅스 설립자는 고든보커, 제럴드 제리 볼드윈, 지브 시글 3명이었습니다. 이들은 샌프란시스코대학교 동창이었는데 커피를 너무나도 좋아해서 졸업 후에도 양질의 커피를 공유하는 모임을 함께 했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시애틀에서 3명이 공동투자를 하여 커피의 원두를 파는 작은 소매점을 열게 됩니다. 당시 카페의 이름을 고민하던 중 소설 모비딕의 1등 항해사인 스타벅이 커피를 사랑한다는 것에 기인하여 자신들을 3명의 스타벅이라는 뜻으로 '스타벅스'라고 지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에 맞는 대표 로고를 생각하던 중 바다와 관련되어 있고, 자신들의 가게에 사람들이 커피맛에 홀려 자주 들르기를 바라는 마음에 뱃사람들을 유혹하여 죽음에 이르게 한다는 그리스 신화의 '세이렌'을 상징으로 도입하였습니다.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Twin tail Siren입니다. 초기의 로고는 위 사진에 있는 것과 같이 조금 괴기스러운 면도 있고, 선정적이라는 지적이 있어 좀더 단순화하고 거부감을 배제하여 현재의 로고가 되었다고 합니다. 현재 우리가 어플로 직접 주문하기 위해 사용하는 '사이렌 오더'도 여기에서 근원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참고로 스타벅스 음료의 사이즈 명칭은 1982년 CEO였던 하워드 슐츠에 의해 결정되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역사적으로 나라가 망할때 어떤 현상이 일어났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가가 멸망할 때는 몇 가지 공통적인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정치적 대외적으로는 1. 왕권이 약화되고, 권문세족들의 권력이 강해진다.2. 국가 핵심세력들이 자국이 아닌 타국과 많은 관계를 갖는다. 3. 왕권이 약화되었으니 왕권을 노리는 자들이 많아지기 마련이고 이에 왕족 간의 내분과 내란이 자주 일어난다.4. 공교롭게도 상기와 같은 상황에 주변국의 국력이 강해지고, 세력 확장시기가 도래한다5. 폭군의 출현 및 국가 지도자들의 이탈 (극단주의 심화)6. 모든 계층의 부패사회적 문화적 환경적으로는1. 음주가무 및 성생활이 문란해진다.2. 생산성은 떨어지고 소비성향이 강해진다.3. 양극화가 심화되고 중산층이 붕괴된다.4. 천재지면 재난 및 식량, 자원의 고갈 (기근)5. 종교 탄압 또는 종교 부패등이 역사적으로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우리나라 트로트는 언제부터 대중화가 되었나?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도입의 시기로 따진다면, 일본과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일본에는 엔카라고 하는 트로트와 유사한 장르의 음악이 있습니다. 사실 엔카도 정식 장르명인 트로트와 같은 음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엔카는 1880년대 메이지유신 때 연설을 위한 곡으로 초기의 엔카가 만들어졌다가 서양의 7음계가 들어오면서 그것을 일본식의 5음계로 고쳐서 적용되었습니다. 1914년 4/4박자의 폭스 트로트라는 장르가 들어와 결합되면서 지금의 엔카가 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비슷한 시기에 트로트 장르가 들어왔고, 우리의 민요와 섞여서 특유의 민족의 희로애락을 담은 음악으로 전통가요라 칭했습니다. 그래서 그것이 처음 우리 나라에도 전해져 2/4박자 즉 '뽕짝'이라는 트로트가 시작되어 발전되었습니다. 1930~1940년대에 백년설, 고복수, 이난영, 남인수, 이애리수를 중심으로 한국 트로트는 최고의 전성기였다고 합니다. 당시는 트로트를 고급음악이라고 생각했고, 그 수준도 높아 작품성을 인정받을 때였습니다.그러다가 1950~1960년대에 들어서 한국전쟁 이후에 트로트는 고급음악을 벗어나 대중성에 한창 열을 올리게 됩니다. 박재홍의 울고 넘는 박달재, 현인의 신라의 달밤 등이 히트치면서 본격적으로 대중화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970~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트로트음악은 새로운 세대들이 서구에서 들여온 포크, 발라드, 락, 댄스, 힙합 등 다양한 서구음악이 들어오면서 낡은 음악, 수준이 낮은 음악으로 치부되는 암흑기를 거치게 됩니다 .트로트를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안타까운 시기였습니다. 그래도 꾸준히 트로트계에서의 스타들은 탄생하고 있었고 김수희 등 대스타들이 있어 그 명맥을 이어갔습니다. 특히 이 시기에는 발라드의 유재하, 김현철, 신승훈 등과 락, 댄스, 힙합의 서태지와 아이들, 듀스, 시나위, 부활 등 유명한 뮤지션들이 출현하게 됩니다. 트로트에게는 강적들이었죠. 2000년대 이후에 들어어서면서 젊은 트로트 가수들이 등장하면서 또다시 부흥기를 가져옵니다. 장윤정, 박상철, 박현빈, 홍진영, LPG 등 젊은 트로트 가수들이 고연령층의 팬만을 타겟으로 하던 지난 트로트 문화를 젊은 사람들에게까지 확대시키면서 또다시 힘을 키워가게 됩니다. 그리고 최근 수년간 미스트롯, 미스터트롯이 소위 대박을 치면서 남녀노소가 모두 즐기는 음악으로 트로트가 자리매김을 하였습니다. 아이돌 출신의 가수가 트로트로 전환하고, 어린 트로트신동이 계속 성장하여 성인이 되어서도 트로트 음악을 하며, 그 수준 또한 많이 올라가고 팬층도 두터워지게 되었습니다. 가장 트로트가 대중화된 시기가 언제냐 하면 지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모든 채널의 방송에서 트로트에 대한 소개와 쇼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지금은 조금 과하다 싶을 정도로 방송에 노출되고 있습니다. 자칫 아이돌이 판치는 음악방송처럼 식상해질까봐 두렵습니다. 단순히 예능식으로 트로트와 트로트 가수들을 활용하지 말고, 좀더 전문적으로 트로트를 접근해가는 프로그램도 있었으면 좋겠네요.
음악
음악 이미지
Q.  옛날에는 왜? 탈을 쓰고 춤을 추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탈춤은 일종의 해학, 풍자가 들어있는 연극, 춤, 노래가 포함되어있는 현대의 뮤지컬이었습니다. 그러나 당시에는 신분제도가 있는 관계로 공연을 하는 사람들은 예인 또는 평민 이하의 계급에 속하는 사람들이라 공연 중 왕이나 관리, 양반들에 대해 비판적인 요소를 담은 공연을 하던 중 신분이 드러나 곤욕을 치를 수도 있는 위험성에 대해 간과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 신분을 나타내는 상징의 탈을 쓰고 공연을 했던 것입니다. 부채 등을 들고 있는 배우는 양반에 해당 됩니다. 탈은 우리나라의 풍자와 해학의 좋은 본보기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국과 대만은 왜 사이가 나쁜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과 대만은 한민족이고 한나라였던 것은 사실입니다. 중국 내에서 1949년에 국민당의 장제석, 공산당의 모택동의 전쟁에서 국민당의 장제석이 패하면서 지금의 대만으로 쫓겨나듯 가서 자리를 잡고 대만이라는 이름으로 별도의 국가를 세운 것입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두 당이 서로의 정책으로 대립하며 권력을 잡으려고 하던 중 두 당의 승패를 결정지은 것은 토지 정책의 차이 때문이었습니다. 공산당의 모택동은 땅을 몰수하고 무상분배해주겠다고 하였지만 장제석의 국민당은 토지개혁에 대한 특별한 청사진도 제시하지 못했습니다. 아마도 장제석의 국미당은 토지사유제도를 기반으로 한 토지소유평등권을 주장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당시 중국 인구의 90%가 농민이었고, 그 중에 90%가 자기 땅이 없는 소작농과 노예들이었습니다. 그러니 토지소유주들의 땅을 빼앗아서 모든 농민들에게 똑같이 분배해주겠다는 공산당 쪽으로 여론이 기울면서 전세는 공산당에게 유리하게 되어 결국 장제석의 국민당은 본토에서 공산당에게 패하고 대만으로 후퇴하게 된 것입니다. 그러니 지금의 중국은 하나의 중국을 표방하고 있기 때문에 공산당에 패해 섬으로 도망가 대만이라는 국가를 선포하였지만, 사실은 중국의 일부일 뿐이라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현재 국제적으로는 대만을 독립국가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의 입김이 크게 작용하여 중국과의 관계에 종속적인 국가들의 경우나 민감한 관계가 있는 경우 대만, 즉 Taiwan이라고 표기하지 않고 chinese taipei라고 합니다. 이것은 대만이 국제기구 등에 가입할 때는 대만이라는 이름을 사용할 수 없고, 차이니스 타이페이라고 사용하도록 중국이 영향력을 행사한 것입니다. 여전히 중국은 대만이 자기 땅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니까요. 그러니 양국의 관계가 좋을 수 없겠죠. 꼭 대한민국과 북조선인민공화국과 같이 말이죠.
2462472482492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