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태피스트리'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태피스트리는 직물공예에서 쓰는 말로 염색된 실을 이용하여 모양을 짜 나가는 방식을 말합니다.이것은 두가지의 뜻으로 사용되는데 하나는 직기(loom)를 이용해 씨실과 날실을 엮어 만든 직물 작품이고, 다른 하나의 의미는 풍경화, 인물화, 정물화 등 그림이 들어간 작품을 뜻하기도 합니다.오늘날의 태피스트리는 첫번째의 것을 말하고 옛날 태피스트리 작품 중에는 두번째의 작품들이 대부분입니다.최근에는 그 의미가 굿즈 등에 적용되면서 약간 변화하여 벽걸이 형태의 포스터나 브로마이드도 그렇게 부르곤 합니다.문학, 드라마, 영화 등에서도 사건이나 인물의 관계 등의 복잡하게 엮여있는 경우도 이 말을 쓰기도 합니다
Q. 한글에서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랑 두음법칙은 어떤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음절의 끝소리 규칙음절의 끝소리 규칙은 한국어 음절 종성(받침)에서 발음 가능한 자음을 'ㄱ, ㄴ, ㄷ, ㄹ, ㅁ, ㅂ, ㅇ' 7개로 제한하는 규칙입니다. 이 규칙은 표기된 자음이 실제 발음에서 대표음으로 바뀌는 현상을 설명하며, 특히 모음으로 시작하는 실질 형태소와 결합할 때 적용됩니다꽃 위 > 꼬뒤밭 아래 > 바다래멋있다 > 머딛따 (머싯따)두음 법칙두음 법칙은 한국어에서 단어의 첫소리가 특정 조건에서 발음되는 규칙으로, 주로 한자어에 적용됩니다. 이 법칙은 발음의 일관성과 편리함을 위해 존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ㄴ' 두음 법칙- 한자어의 '녀, 뇨, 뉴, 니'로 시작하는 단어는 'ㄴ'이 'ㅇ'으로 발음됩니다. (예) 녀자 > 여자, 닉명 > 익명, 년 > 연, 뉴대 > 유대'ㄹ' 두음 법칙- 한자어의 '랴, 려, 례, 료, 류, 리'로 시작하는 단어는 'ㄹ'이 'ㅇ'으로 발음됩니다.(예) 뉼법 > 율법, 력사 > 역사, 료리 > 요리다만 고유어, 외래어, 의존명사, 고유명사는 두음 법칙을 적용하지 않고 본음 그대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화여자대학교'와 같은 것은 일부 예외적으로 두음법칙을 적용한 것을 고유명사로 사용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