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Q.  보수 원로 조갑제씨의 한자교육 강화는 문해력과 관련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대한민국은 과거 한자문화권이었습니다. 그로 인해 한자어가 아닌 순우리말도 있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단어는 한자어음입니다. 한글은 가장 발달한 표음문자이므로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문자가 우리가 발음하는대로 한글로 모두 표기될 수 있기에 자칫 한글만 알면 되지 굳이 한자어를 알아야 하나라고 의아해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하지만 우리 책, 방송, 사람들 간의 대화 속에서 사용하는 많은 단어들이 한자어이므로 한자를 잘 알고 있는 것은 문해력에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화분(꽃을 심어 기르는 그릇), 전화기(말을 전기나 전류로 바꾸어 다시 말소리로 변환시켜 원거리 대화하는 기계), 악수(한손을 마주내어 잡는 일, 인사), 선물(상대에게 정이나 인사로 물건을 주거나 준 물건), 조식, 중식, 석식(아침, 점심, 저녁식사), 숙박(일정한 곳에 잠을 자고 머무름), 전쟁(무력을 사용하여 싸움), 보수, 진보 (보전하여 지킴, 사회변화나 발전을 추구), 정치(나라 등을 바르게 다스리는 일) 등 정말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한자어가 우리말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중국의 것이니 순우리말로 바꿔야 한다가 아니라 정말 오랜 역사 속에서 서로 교류하면서 국가간 소통을 위해 고착화된 것이므로 우리 역사의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너무 한자어만 사용하는 현학적인 행태를 보이는 것은 문제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말 중에는 한자어가 많기에 한자어를 공부하는 것은 문해력 및 소통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봅니다. 그것에서 발전하여 그에 맞는 순우리말도 함께 공부하여 점차적으로 바꾸어 나갈 수 있는 것은 그렇게 해나가는 것도 중요하다고 판단됩니다.
Q.  나라의 언어가 다르듯이 수화는 나라별로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수화는 국가별도 다릅니다. 심지어는 지역별로도 다르기도 합니다. 반대로 마다가스카르의 말라가시어와 노르웨이어는 완전 다른 언어인데 노르웨이 선교사가 마다가스카르 수화의 개발에 참여한 까닭에 두 나라의 수화가 비슷한 경우도 있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통하기 위해 국제수화가 만들어져 있으나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고, 기존 각 국가나 지역의 수화를 통일하기 위함이 아니라 국제적 환경에서 농인들의 소통을 돕기 위해 보조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Q.  쇠뿔도 단김에 빼라 풀이 좀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쇠뿔은 아시다시피 소의 뿔입니다. 단김이라는 단어에서 '단'은 달구다(뜨겁게 하다)의 뜻입니다. '김'이라는 것은 '기회에', '순간에'라는 뜻입니다. 전통적으로 소의 뿔을 제거할 때 뜨겁게 달군어 말랑해졌을 때 바로 빼내야 조금더 손쉽게 작업할 수 있었습니다. 이에 관용적인 어구로 '쇠뿔도 단김에 빼라'는 말이 생겼고, 이것의 뜻은 '무슨 일이든 적절한 시기에 망설이지 말고 바로 실행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Q.  번역문학의 인기증가가 국내 출판계에 미친 영향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번역문학의 인기는 지금 대두된 것이 아니라 1895년 선교사 게일이 영국 소설 The Pilgrim's Progress를 번역한 과 우리나라 번역문학의 시초인 이후로 꾸준히 증가하였고 현재 서점가에서 대부분 스테디셀러도 그러합니다. 최근 한강 작가를 필두로 국내 작가들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작가로 우뚝섰음에도 그들을 제외한 나머지는 외면받고 있는 실정입니다.하지만 긍정적인 점은 이러한 외국문학의 유행이 우리 문학의 수준을 상향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한국적 가치관을 담을 작가들이 세계로 진출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Q.  에세이 열풍이 독자와 작가 간 관계 형성에 주는 새로운 변화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에세이는 신변잡기적으로 일상과 가까운 것을 주제로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감정에 있어서 좀더 독자와 교감할 수 있는 주제를 다루게 됩니다.이러한 형식이 대두되면서 독자들은 나도 나의 이야기를 쓸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고 특별하다 생각했던 작가라는 것이 누구나 도전해 볼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게 됩니다. 그로 인해 문학시장에 좀더 많은 이들이 들어오게 되고 그것을 수용할 출간시장이 활성화됩니다.그것이 여기 브런치와 같은 온라인 시장의 활성화를 이끌었다 봅니다. 단순히 독자이던 이들이 독자이자 작가가 되고 여기서 점점 양질의 작품이 탄생될 기회가 생긴다고 생각됩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